"주요 당사자 비화폰 통신내역 순차적으로 받는 중"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팀이 지난 25일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기록 회수 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정민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31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주 금요일(25일) 임 전 비서관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며 "이로써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한 국가안보실 소속 5명에 대한 조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팀이 지난 25일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기록 회수 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사진은 정민영 특검보가 지난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이어 "특검은 7월 31일 회의 전후 상황, 즉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일으키게 한 (채해병 사망사건) 수사 결과에 대한 재검토 관련 외압 의혹과 구명로비 의혹을 더 면밀히 조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임 전 비서관은 지난 25일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회의 도중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이렇게 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나. 그동안 여러 차례 강조했는데 왜 업무를 이렇게 처리했는가'라고 말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회의에 참석했던 국가안보실의 김태효 전 1차장,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조태용 전 실장 등도 앞선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는 모습을 봤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VIP 격노설'이 나온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7명 중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정 특검보는 김 전 장관 소환 계획과 관련해 "아직 정해진 일정이 있는 건 아닌데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소환 일정에 대해선 "아직 말씀드릴 정도로 협의된 건 없으나 조만간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유 전 관리관은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이후, 국방부 검찰단이 채해병 사망사건 초동조사 기록을 경찰로부터 회수했던 2023년 8월 2일까지 대통령실·경찰 관계자 및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 등과 여러차례 연락한 핵심 인물이다.
한편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김건희 여사·이 전 장관·조 전 실장·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에 대한 통신기록을 대통령 경호처 등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출받고 있다.
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 통신기록) 삭제 지시 관련한 얘기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만약 삭제됐으면 해당 경위도 확인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수사기록 회수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직권남용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이 전 비서관이 휴대전화 비밀번호 제공과 잠금 해제를 위한 얼굴 인식에도 협조하기로 해서 오늘 포렌식 절차 일부도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hong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