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 기술 경쟁력·인력 양성 방안 논의
"제조·의료·국방 등 융합 위한 지원 확대" 강조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30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국내 피지컬 AI 핵심기술 경쟁력 확보 및 산업 확산 방안을 논의하는 산학연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류제명 제2차관 주재로 열렸으며, 국내 피지컬 AI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정책적 지원책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였다.
피지컬 AI는 관성, 마찰, 중력 등 물리법칙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제 환경에서 사람처럼 능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로, 제조·물류를 비롯해 농업,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 |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30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피지컬 인공지능(AI) 산학연 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번 간담회에서는 먼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김욱 PM이 피지컬 AI의 개요와 글로벌 시장 현황을 소개했으며, 마음AI는 기술개발·실증, 인력 양성 등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어 KAIST 장영재 교수는 국내외 연구 동향에 대해 설명했다.
토론에는 마음AI 유태준 대표, 써로마인드 장하영 대표, 엑시스소프트 오창흔 대표, 씨메스 이성호 대표, 아리카 박인준 대표 등 기업 관계자들과 KAIST, 포항공대, GIST, 경남대 교수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및 IITP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술 육성과 산업 확산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피지컬 AI는 우리 산업과 일상을 혁신할 차세대 범용 AI 기술"이라며 "AI G3 도약을 위해 피지컬 AI를 기반으로 제조 등 주력 산업과의 융합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AI와 산업 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