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분기 GDP 속보'…수출 1분기 -0.6%→2분기 4.2% '반전'
내수도 승용차와 오락 문화 서비스로 0.5%↑ 플러스 전환
건설투자, 설비투자 1분기 이어 마이너스 행진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우리나라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수출과 재화, 서비스 등 민간소비 회복으로 1분기 마이너스 성장(-0.2%)을 딛고 0.6%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24일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서 실질 GDP는 전기대비 0.6%(전년동기대비 0.5%) 성장했으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대비 1.3%(전년동기대비 1.4%) 증가했다고 밝혔다.
분기별 GDP는 지난해 1분기 1.2% '깜짝 성장'을 했다가 2분기 -0.2% 감소로 충격을 줬다가 지난해 3분기, 4분기 0.1%의 지지부진한 성장을 이어가다가 올해 1분기 다시 마이너스 성장을 해 충격을 줬다.
2분기 성장의 견인차는 미국과 관세협상의 우려속에서도 선전한 수출과 민간소비다.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이 선전한 재화와 오락문화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 0.5% 성장했다. 민간소비는 1분기때는 -0.1%로 역성장하면서 충격을 줬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증가했다.
수출도 1분기 -0.6%에서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 4.2% 증가해 큰 반전을 기록했다. 수입도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2분기 수출 4.2% 증가는 애초 4월로 예정된 미국의 관세부과 정책이 연기 대면서 관세부과 이전 수출하려는 물량이 몰렸기 때문이다. 증가율로는 2020년 3분기 이후 5년 만에 최대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 및 토목건설이 줄어 1.5% 감소했다. 다만 전분기 -3.1% 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와 선박 등 운송장비가 줄어 1.5%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은 어업을 중심으로 1.4% 감소했고 제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등을 중심으로 2.7%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중심으로 3.2% 감소했으며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줄어 4.4%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등이 줄었으나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부동산업 등에서 늘어 0.6%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3% 증가해 GDP 성장률(0.6%)을 상회했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7.24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