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의료·구호 분야 비상 대응 체계 강화
어르신·쪽방 주민 밀착관리, 냉방용품 지원
중대재해감시단, 공공·민간 건설현장 점검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9일 오전 '긴급 폭염대책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폭염 피해 관련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8일 서울 낮 최고기온이 37.8도를 넘으며 1907년 기상관측 이래 7월 초 기준 역대 최고 수치를 보인 데 따른 조치다.
이날 서울시청 6층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회의에는 3부시장(행정1·2,정무)과 재난안전실장, 소방재난본부장, 복지실장, 교통실장 등 시민 안전과 밀접한 12개 실국장이 모두 참석했다.
시에 따르면 해외 출장 중인 오세훈 시장은 서울의 폭염 상황을 접하고 행정1·2부시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특단의 폭염 대책을 가동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이에 즉각적으로 회의를 소집해 현재 추진 중인 폭염 대책 점검과 강화된 대비책 마련 논의에 들어갔다.
![]() |
9일 오전 10시30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6층)에서 서울시 3부시장(행정1·2,정무), 재난안전실장, 소방재난본부장, 복지실장, 교통실장 등 시민 안전과 밀접한 12개 실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폭염대책 상황 점검 회의'가 개최되고 있다. [사진=서울시] |
앞서 시는 7일 폭염경보가 발효됨에 따라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고 폭염종합지원상황실 대응 단계도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했다.
우선 시는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방, 의료, 구호 분야에서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한다. 현재 70여 개 응급실과 자치구 보건소와 협조해 온열질환자의 신속한 이송·치료를 위한 집중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119폭염구급대' 161개 대와 '펌뷸런스' 119개 대도 가동 중이다.
무엇보다 폭염에 취약한 어르신 3만 9000명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며, 폭염특보 발령 시 방문 횟수를 늘려 안전을 살핀다. 또 쿨토시와 쿨타월 등 폭염 대응 물품을 폐지수집 어르신 3100여 명에게 지급할 예정이다.
폭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노숙인 피해 예방을 위해선 '혹서기 응급구호반' 52개 조 123명이 서울역 등 노숙인 밀집 지역을 하루 4회 이상 순찰하며 쉼터 안내, 병원연계 등을 지원한다. 시는 현재 현재 하루 평균 1000명 이상 이용 중인 '노숙인 전용 무더위쉼터' 11개소에 대한 관리와 함께 이동목욕서비스 등도 제공 중이다.
쌍방향 안전 수칙을 전파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된다. 서울시 중대재해감시단이 공공·민간 건설공사장에서 안전 수칙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위반 사항 발견 시 관계기관에 통보해 강력히 대응한다.
시는 지난 5월부터 폭염·수해·안전·보건 등 4대 분야의 여름철 종합대책을 가동, 자치구와 7개 종합상황실을 운영하며 현장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과 자원을 총동원해 현장 밀착형 폭염 대책을 즉각 시행하라"고 지시하면서 "특히 폭염에 취약한 어르신과 쪽방 주민, 장애인 가구 등을 더욱 세심히 살피고, 야외 근로자에 대한 보호 조치에도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폭염을 안전하게 피할 수 있도록 무더위쉼터와 같은 폭염지원시설, 대중교통 운영 개선 등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총력 대응하라"고 강조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