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책임체계·커머스 정산 주기 등 총 7개 과제 다뤄
SME·창작자 지원 프로그램 고도화 권고
고객센터·인터넷 안전 환경 개선도 제안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가 1년간의 주요 활동을 정리한 제2차 보고서를 발표하며 AI 안전성, SME 지원, 이용자 보호 방안 등에 대한 자율규제 실천 현황과 향후 과제를 제시했다.
2일, 네이버는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이하 자율규제위원회)'가 지난 2023년 9월 출범 이후 지난 1년간 진행한 활동을 담은 제2차 활동보고서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자율규제위원회는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응해 이용자와 파트너 보호,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목표로 출범했으며, 정기 회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자율규제를 지속 논의해 왔다.
![]() |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2차 활동보고서 표지. [사진=네이버] |
이번 보고서에는 AI 안전성 관리 체계 정립, 커머스 플랫폼 정산 주기 개선, 소상공인(SME) 디지털 전환 지원, 다크패턴 개선, 창작자 상생 프로그램 '프로젝트 꽃 2.0', 고객센터 개선, 인터넷 안전 환경 조성 등 총 7개 과제가 담겼다.
자율규제위원회는 보고서에서 네이버의 자율규제 이행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각 분야의 체계적 고도화를 권고했다. 특히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책임과 관리 원칙 명확화 및 교육 확대, 판매자 혜택 강화와 소비자 보호를 포함한 '비즈니스 스쿨'의 교육 체계 확대, 고객센터의 AI 기술 활용 및 서비스 체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창작자군 다양화 지원, 인터넷 안전 환경을 위한 외부 협력 강화, 다크패턴 방지를 위한 분류체계 정기 업데이트 및 검증 체계 마련 등도 권고사항에 포함됐다.
권헌영 자율규제위원회 위원장은 "플랫폼이 스스로 이용자 권익 보호와 정보 투명성을 강화할 때 신뢰받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 진보와 권익 보호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점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대표는 "자율규제위원회의 객관적 평가와 지원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자율규제위원회는 향후 가품 방지 및 소비자 보호 활동을 분석한 연구 결과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