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적·정서적·성적 폭력 유형별 조기 발견 지원
조용수 국장, 피해자 일상 회복 적극 지원 의지 표명
[서울=뉴스핌] 김보영 기자 = 여성가족부가 교제폭력 피해자가 다양한 교제폭력 피해와 위험성을 스스로 인지하고 상당 및 신고 등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를 전국에 보급한다고 28일 밝혔다.
진단 도구 보급은 지난해 6월에 발표된 '교제 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건국대학교 강소영 교수 연구팀이 성인과 청소년을 위한 일반 국민용 2종과 상담원용 1종 등 총 3종을 개발했다.
![]() |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여성가족부는 교제폭력 피해자가 위험성을 인식하고 상담 및 신고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교제폭력 피해 진단도구'를 전국에 보급하기로 했다고 .이번 진단도구 보급은 지난해 6월 발표된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후속 조치로 진행된다[교제폭력 피해 홍보 배너=여가부 제공] 2025.05.28 kboyu@newspim.com |
여가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청소년 1388 누리집에서 성인과 청소년은 각자의 상황에 맞는 진단 도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교제 폭력은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 및 통제, 스토킹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피해자가 조기에 폭력을 인지하고 대응하기 어려운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교제 폭력의 특성을 반영한 진단 도구로 피해자가 신호를 조기에 포착하고, 지원을 통해 교제 폭력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단도구 3종은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 등 다양한 교제폭력 행위와 피해 유형이 포함돼 있다. 일반 국민용은 사용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가 진단 후 상담이나 신고 등 지원을 요청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담원용은 피해자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평가해 효과적인 상담과 지원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여가부는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전국 가정 폭력·성폭력 상담소와 대학 인권센터 등에서 시범 사용을 통해 교제 폭력 발생 빈도와 위험도를 분석하고 진단표 문항을 보완하여 현장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진단 결과에 따른 상담 및 피해 지원을 위해 올해 2월부터 피해 지원 기관의 상담원 등을 대상으로 진단 도구 해설서를 배포하고 온라인 교육을 진행해왔다. 향후 현장의 다양한 적용 사례를 분석해 딥페이크 등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폭력 유형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진단 문항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조용수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교제 폭력은 조기 발견과 신속한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여가부는 '교제 폭력 피해 진단 도구'를 활용해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피해자가 신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