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밀 지도·디지털트윈 기술, 국가 공간정보와 융합
네이버 지도 통해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 제공
민관 협력 기반으로 공간정보 산업 생태계 확장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국토지리정보원과의 협업을 통해 고정밀 지도 구축과 공간정보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다.
14일 네이버는 네이버랩스 및 국토지리정보원과 국가 공간정보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3자는 네이버랩스의 디지털트윈 기술과 네이버 지도 플랫폼의 역량,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항공사진, 위성 영상, 3차원 공간정보, 실내공간정보 등 국가 공간정보를 결합해,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과 활용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 |
[사진=네이버] |
이들은 공간정보협의체를 구성하고, 위치 정확도와 데이터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과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이를 기반으로 3차원 지도, 실내외 통합 경로 안내 등 실생활에 밀접한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개발해 사용자 경험을 한층 향상시킬 계획이다.
협력의 범위는 기술 개발을 넘어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확대된다. 공공기관, 연구기관, 스타트업 등이 공간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마련하고, 연구개발(R&D) 및 기술 확산 지원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O2O, 자율주행, AR/VR 등 다양한 미래 산업 분야에서도 시너지가 기대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네이버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지도 플랫폼과 공간지능 기술이 더 넓은 사회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사용자 편익 증진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기술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