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위축됐던 대중음악공연시장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 이전의 활기를 다시 되찾으면서 공연 성수기를 맞아 다양한 대형페스티벌과 내한공연이 줄을 잇고 있는 것이다.
◆ 20년의 자존심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5월부터 시작된 공연 성수기를 맞아 올해도 대형 뮤직페스티벌이 관객들과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여러 개의 페스티벌 중, 가장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매년 8월 모두를 뜨겁게 달군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이다. 올해도 8월에 개최되는 이번 페스티벌은 1차 라인업 발표와 동시에 모두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990년대 브릿팝 밴드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 중 한 팀인 영국 밴드 펄프가 결성 47년 만에 첫 내한을 하면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상승세를 보였다. 펄프는 오랜 무명 생활을 겪다가 오아시스, 블러, 스웨이드 등과 함께 1990년대 브릿팝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만큼 이번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로 참여를 확정지었다.
![]() |
인천 송도에서 열린 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사진=인천시] |
특히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은 올해 20회를 맞는 만큼 더욱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BBC '사운드 오브 2020'에 선정된 비바두비와 국내에서는 혁오, 장기하, 송소희, 나상현씨밴드, 루시 등이 1차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면서 추후 발표될 라인업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매년 5월 올림픽공원 일대를 물들이는 '서울 재즈페스티벌(서재페)'도 올해 다채로운 아티스트들과 함께 공연을 펼친다. 제17회 '서재페'에는 오랜 시간 무대를 지켜온 전설적인 아티스트부터 최근 주목받고 있는 뮤지션까지 폭넓은 세대를 아우르는 구성을 준비됐다.
해외 아티스트로는 펑크와 소울의 정수를 담은 60년 전설의 10인조 밴드 '타워 오브 파워'와 방탄소년단 뷔, 엑소 백현과 듀엣으로 국내 리스너들에게도 친숙한 우미 등이 참여한다. 또 국내 아티스트로는 자우림의 김윤아, 스텔라 장, 권진아 밴드, 윤석철트리오, 씨엔블루, 안신애 등이 함께 할 예정이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지난해 열린 '서울 재즈 페스티벌' 현장. [사진=서울재즈페스티벌 인스타그램] 2025.05.09 alice09@newspim.com |
6월에 열리는 '뷰티풀 민트 라이프'는 기존의 88잔디마당, 88호수 수변무대에 이어 KSPO돔까지 규모를 넓히고, 국내 최대 전자음악 축제인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도 6월 과천 서울랜드에서 관객들과 만나게 된다.
음악 페스티벌은 콘서트와 달리 한 공간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이동하며 즐길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티스트들은 짜인 시간표에 맞춰 무대에 서고, 관객들은 원하는 아티스트의 공연을 골라서 볼 수 있다. 또 넓은 야외 공간에서 휴식과 공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장점으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다보니 대형 페스티벌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초기에는 록이나 재즈에 국한됐다면 지금은 힙합, 일렉트로니카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 계속되는 해외 가수들의 내한공연…'완전체' 오아시스
올해는 대형 페스티벌과 더불어 해외 가수들의 내한공연도 알차게 준비가 됐다. 지난 3월 콜드플레이가 고양에서 내한공연을 마친데 이어 5월에는 힙합스타 칸예 웨스트가 오는 31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첫 한국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다.
칸예 웨스트는 이번 콘서트에서 최근 발표한 신곡 '불리(BULLY)'를 세계 최초로 한국 팬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해 한국에서 리스닝 파티를 진행했던 그는, 별다른 공지 없이 70분이 지나서 모습을 드러내 원성을 샀지만, 무대에서 예정된 곡 외에 지금까지 발매한 앨범을 라이브로 선보이며 팬심을 달랬다. 특히 칸예는 2022년 7월 이후 제대로 된 라이브 무대를 선보인 적이 없었고, 리스닝 파티에서는 마이크를 거의 잡지 않았던 만큼 이례적인 행보에 해외 팬들 사이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2024.11.22 oks34@newspim.com |
팬들의 떼창을 유도했던 칸예는 마지막 곡을 부른 뒤 "한국, 사랑한다"라고 외쳐 엄청난 호응을 얻기도 했다. 칸예 못지 않게 한국에 대한 남다른 사랑을 과시했던 노엘 갤러거도 10월 '오아시스' 완전체로 한국을 찾는다. 노엘 갤러거는 그간 '하잉 플라잉 버드'로 수차례 한국을 찾았지만, 오아시스가 완전체로 내한 공연을 선보이는 것은 16년 만이다.
오아시스는 앞서 2006년 첫 내한공연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했고, 2009년에는 단독 공연과 페스티벌 헤드라이너로 한 해에만 한국을 2번 찾으면서 국내 팬들에게 애정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의 모습은 2009년 이후 해체로 인해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오아시스가 데뷔 30주년을 맞아 재결합을 공식 선언했고, 월드투어 일정에 한국에 포함되면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그간 노엘 갤러거는 내한을 하면서 한국에 대한 남다른 사랑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2015년 공연에서 "서울에 올 때마다 생일 같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칸예 웨스트 내한 공연 포스터. [사진=쿠팡플레이] 2025.05.09 alice09@newspim.com |
이외에도 J팝 아이묭은 1만6000석 규모의 내한공연을 마쳤고, J팝의 디바 나카시마 미카도 내한을 앞두고 있다. 이외에도 록밴드 스캔들, 애쉬 다 히어로, 렛미노우도 내한을 결정했고, 미국 싱어송라이터 라우브 등이 한국을 찾는다.
해외 뮤지션에게 한국은 '떼창'으로 남다른 이미지가 각인 돼 있다. 타 국가에서는 팬들이 공연 중 노래를 함께 부르는 일이 적은 반면, 한국에서는 모두가 한 목소리로 노래를 불러 진풍경을 만들어냈고 여기에 노엘 갤러거와 폴 메카트니 등이 한국의 떼창 문화에 극찬을 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내한 공연이 더욱 활성화 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올해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부터 '그랜드 민트 페스티벌', '뷰티풀 민트 라이프', '서울 재즈페스티벌',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과 더불어 밴드, J팝, 힙합 등 다양한 내한 공연이 마련됐다. 대중의 음악적 취향의 다양화에 힘입어 더욱 많은 공연이 준비된 만큼, 올해 대중의 가장 큰 사랑을 받게 될 페스티벌과 내한공연은 무엇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