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속도·주행 패턴 등 개인 운전 습관 분석
로그인·동의 시 별도 설정 없이 기능 자동 적용
일반 예측값과 개인화 시간 병행 제공으로 정확도 향상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9일, 지도 내비게이션에 AI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예상 도착 시간 기능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 기능은 이용자의 운전 속도, 주행 패턴 등 개인 고유의 운전 습관을 분석해 보다 정확한 예상 도착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는 특정 경로의 평균 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단일한 소요 시간을 예측했다면, 새 시스템은 개별 이용자의 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분석한 맞춤형 도착 시간을 산출한다.
이용자는 로그인 상태이며 주행 이력 관련 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한 경우, 별도 설정 없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번의 주행을 통해 AI가 운전 스타일을 학습할수록 더욱 정밀한 예측 결과가 제공된다. 화면에는 개인 맞춤 도착 시간과 함께 전체 이용자의 평균 기반 예측 시간도 병행 제공돼 비교와 참고가 용이하다.
![]() |
[사진=네이버] |
이은실 네이버 지도 리더는 "네이버 지도 내비게이션은 사용자 관점에서 세분화된 기능 고도화를 지속하고 있다"며 "AI 기반 개인화 기능을 시작으로 향후에도 특화 기능을 꾸준히 확대해 이용자 편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