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종합] 완성차 4월 실적 '양극화'...현대차·기아 늘고 중견 3사 줄어

기사입력 : 2025년05월02일 16:58

최종수정 : 2025년05월02일 16:58

현대차, 총 35만3338대 판매...전년비 2.0% ↑
기아, 총 27만4437대 판매...전년비 5.0% ↑
GM 한국사업장, 총 4만1644대 판매…전년비 6.3% ↓
르노코리아, 총 1만427대 판매…전년비 1.4% ↓
KG모빌리티, 총 8932대 판매…전년비 8.4% ↓

[서울=뉴스핌] 김승현 조수빈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수입차 관세 25%'가 시행된 첫 달인 지난 4월, 국내 완성차 5사(현대자동차, 기아, GM 한국사업장,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의 실적은 양극화를 기록했다.

'큰형'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4월보다 국내, 해외 판매량이 함께 늘며 선방했지만, 중견 3사는 모두 수출이 줄어들며 실적이 악화됐다.

현대차·기아 양재 사옥. [사진=현대차]

◆ 현대차, 총 35만3338대 판매...전년비 2.0% 증가

현대차는 4월 국내 6만7510대, 해외 28만5828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총 35만3338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5.9% 증가, 해외 판매는 1.1% 증가했다.

현대차는 4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한 6만7510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 6080대, 쏘나타 4702대, 아반떼 7099대 등 총 1만8491대를 팔았다. RV는 팰리세이드 6662대, 싼타페 6354대, 투싼 5223대, 코나 2722대, 캐스퍼 1455대 등 총 2만5728대 판매됐다.

포터는 5372대, 스타리아는 3727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총 2573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4340대, GV80 2927대, GV70 3093대 등 총 1만1504대가 팔렸다.

4월 해외 시장에서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한 28만5828대를 판매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향후 디 올 뉴 팰리세이드,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 등 신차 판매를 적극 추진하는 동시에 각 시장별 현지화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실행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패스케리아 로이터=뉴스핌]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페스케리아시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생산 공장에 있는 기아 로고.

◆ 기아, 총 27만4437대 판매...전년비 5.0% 증가

기아는 4월 국내 5만1005대, 해외 22만3113대, 특수 319대 등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27만4437대를 판매(도매 판매 기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7.4% 증가, 해외는 4.6% 증가한 수치(특수 판매 제외)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7737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5543대, 쏘렌토가 2만3855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는 2025년 4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한 5만1005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8796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4262대, K5 3581대, K8 2566대 등 총 1만2415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592대, 스포티지 6703대, 셀토스 5101대, EV3 3057대 등 총 3만5152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303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438대가 판매됐다.

기아의 4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한 22만3113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4만1034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2만442대, K3(K4 포함)가 1만6666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80대, 해외에서 239대 등 총 319대를 판매했다.

기아 관계자는 "국내와 해외 모두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EV4, 타스만 등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사진=쉐보레]

◆ GM 한국사업장, 총 4만1644대 판매…전년비 6.3% 감소

GM 한국사업장은 4월 내수 1326대, 수출 4만318대로 총 4만1644대를 판매했다. 전체 판매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6.3% 줄어들었으며 수출 물량이 전체 판매량 중 97% 가량을 차지했다.

GM 한국사업장의 4월 해외 판매는 4만318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줄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가 전년 동월 대비 6.1% 증가한 2만7723대가 판매되며 실적을 견인했다.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는 총 1만2595대가 판매됐다.

GM 한국사업장은 4월 내수 시장에서 총 1326대를 판매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42.3% 축소됐다.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1079대 판매되며 실적을 리드했다. 올 뉴 콜로라도의 판매 대수가 전년 동월 대비 100% 증가했다.

구스타보 콜로시 GM 한국사업장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쉐보레 브랜드의 전략 차종인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에 대한 국내·외 시장의 꾸준한 수요가 다시 한번 실적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르노코리아의 그랑 콜레오스 [사진=르노코리아]

◆ 르노코리아, 총 1만427대 판매…전년비 1.4% 감소

르노코리아는 4월 내수 5252대, 수출 5175대로 총 1만427대를 판매했다. 전체 판매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5% 성장한 르노코리아의 내수 실적은 4375대를 판매한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가 견인했다.

2026년형으로 거듭난 쿠페형 SUV 아르카나는 지난달 433대가 판매됐다. 2026년형 아르카나는 고객 선호도가 높은 사양으로 구성해 업그레이드한 상품성과 함께, 새로 추가한 에스프리 알핀 트림에 새틴 어반 그레이 컬러 및 새로운 내장 컬러를 입히며 세련된 감각을 더했다.

4월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 르노코리아 차량 4대 중 3대는 하이브리드 모델들이 차지했다. 듀얼 모터를 적용한 직병렬 하이브리드 구동 시스템을 갖춘 르노코리아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한 달간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 E-Tech 3858대,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E-Tech 101대 등 총 3959대가 팔려 르노코리아 4월 내수 판매량의 75.4%를 점했다.

르노코리아의 스테디셀러 SUV QM6 385대, 중형 세단 SM6 39대, 상용차 마스터 밴 20대 등도 르노코리아의 4월 내수 실적에 힘을 보탰다.

르노코리아의 4월 수출은 아르카나 5167대를 중심으로 총 5175대가 선적됐다. 전년 동월 대비 41% 감소했다. 그랑 콜레오스는 5월로 예정된 본격적인 수출 선적을 앞두고 일부 수출 시장에 미리 배정한 사전 선적 물량이 지난 달 수출 실적에 포함됐다.

무쏘 EV [사진=KGM]

◆ KG모빌리티, 총 8932대 판매…전년비 8.4% 감소

KG모빌리티(KGM)는 4월 내수 3546대, 수출 5386대를 포함 총 8932대를 판매했다.

KGM은 신모델 출시에 따른 내수 판매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혼류 생산으로 인한 생산 라인 조정 및 일부 국가 선적 이월에 따른 일시적인 수출 물량 축소로 전년 동월 대비 8.4%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내수 판매는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모델 출시에 힘입어 전월 대비 10.5% 증가했으며, 지난 1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회복세를 보였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1.5% 감소했다. 글로벌 현지 신차 론칭 및 마케팅 활동 강화로 독일과 튀르키예, 스페인 등으로의 판매 물량이 늘며 올 1월 이후 5000대 이상 판매 증가세를 이었다.

KGM 관계자는 "내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소폭 줄며 전년 대비 감소했다"며 "다만 신모델 출시와 함께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수출 역시 5000대 이상 판매 물량을 유지한 가운데 수출 시장 신차 론칭 확대와 함께 해외 대리점 초청 시승 행사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판매 물량 역시 상승세를 이을 것"이라고 말했다.

kim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