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자녀수에 따라 120만~2000만원 지원
출산 뿐 아니라 육아, 교육 등 관련 복지도 확대
정부도 인센티브 늘려, 저출생 해소 지원책 강화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시중은행들이 저출생 해소를 위해 최대 2000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지원하는 등 관련 복지를 확대하고 있다.
직원들이 출산과 육아, 자녀 교육 등과 관련한 지원책을 선호하고 있으며 정부 또한 기업들의 저출생 관련 복지 강화를 장려하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은행권 지원 규모는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기준 5대 시중은행 출생지원금은 최대 2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2025.04.30 peterbreak22@newspim.com |
은행 별로 KB국민은행이 가장 많은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만 태어나도 1000만원을 지급하고 둘째는 1500만원, 셋째 이상은 2000만원을 지원한다. 은행권은 물론, 주요 대기업을 기준으로 해도 최고 수준이다.
하나은행은 첫째 500만원, 둘째 1000만원, 셋째 1500만원, 넷째 이상은 2000만원을 지원하고 NH농협은행은 첫째 500만원, 둘째 800만원, 셋째 1000만원, 넷째 이상은 2000만원을 제공한다. 우리은행은 다자녀 여부와 상관없이 500만원의 동일한 지원금을 책정, 지급한다.
신한은행은 상대적으로 지원금 규모가 적다. 첫째 120만원, 둘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이상은 500만원이다. 신한은행 측은 "출생지원금은 타 은행에 비해 적지만 육아지원비나 교육비 등의 다른 지원금을 많이 제공하고 있어 전체적인 규모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직원들도 별다른 불만은 없다"고 밝혔다.
은행권에서는 직원들이 일·가정 양립문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최근 출생 관련 지원금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각 은행별 임금단체협약(임단협)에서도 출생 및 육아, 교육 관련 복지 확대 요구가 많았으며 이에 출생지원금을 두배 가까이 증액한 경우도 있다.
저출생과 관련, 지원금 외에 따른 복지를 강화한 부분도 눈에 띈다. 배우자 출산휴가를 기존 10일에서 20일로 늘렸고 난임휴가도 6일로 확대했다. 육아 휴직은 기존 2년에서 최대 2년 6개월까지 가능하다. 출산 부담을 덜기 위해 배우자에 대한 지원을 크게 늘렸다는 설명이다.
덕분에 지난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남성 육아휴직자는 2년전인 2022년 대비 60% 이상 늘어난 338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출생지원금이 대폭 확대, 재정부담이 줄어든만큼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비율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금융노조는 올해도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요구안인 주 4.5일제에 대해서도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리면 저출생 해소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조기대선 이후 정부 차원의 지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국민의힘 최종 후보 결선에 진출한 김문수, 한동훈 후보 모두 저출생 해소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정책 인센티브가 기대되는 이유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임단협에서 출산이나 육아, 교육 등 가족을 위한 복지 확대를 요구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며 "저출생 해소를 국가적인 과제인 만큼 다양한 지원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