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CIPD 변동 요인·파급'…CIPD↑, 외인 자금 채권 유입-해외 투자금 국내 환류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현물시장에서 조달 금리와 파생상품을 통한 조달 금리의 차이인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CIPD) 금리가 하락할 경우 달러/원 환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IPD 금리가 상승할 경우 외국인의 원화 채권 자금 유입을 가져오고 거주자의 해외채권 투자금을 국내로 환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9일 BoK 이슈노트를 통해 '우리나라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의 변동요인 및 파급 효과'를 분석해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CIPD는 미 국채 등 달러 자산을 담보로 현물시장(cash market)에서 달러 조달이 가능한 글로벌 은행들로부터 외국환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원화 기반의 투자자들이 바이 앤 셀 스와프 등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달러를 빌리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일종의 가산금리다.
한은은 CIPD 변동요인을 거주자(수요)와 외국인(공급)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원화가 상대적으로 엔화, 유로화 등에 비해 덜 국제화 되어 있음에도 주로 외국인에 의해 CIPD가 변동한 기간은 61%, 거주자요인에 의해 CIPD 변동 기간은 39%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CIPD와 달러/원 환율의 작동은 예를 들어 외국인의 차액결제 선물환(NDF) 매입은 외은 지점(외국환은행) 등의 차액결제 선물환 매도로 나타난다. 또 외은 지점은 매도 포지션 청산을 위해 현물환 매입(환율상승) 및 이를 통해 환 헤지를 위한 셀 앤 바이 스와프를 통해 공급해 결과적으로 CIPD가 하락한다.
한은은 이 분석을 위해 거주자는 국내은행, 외은지점, 보험사, 증권사, 자산운용사, 기업 등 10개, 외국인은 거래상품의 차액결제 여부를 기준으로 차액결제거래와 실물인도 수반 거래 2개로 구분했다.
한은은 결론으로 "우리 외환·금융시장이 외화파생상품 등을 매개로 긴밀히 연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개별 시장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이 아닌 금융기관 미시자료 등을 활용한 시장 간 상호연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분석과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4.29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