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최근 고용 흐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발표
비자발적 실직자, 코로나이후 3년만에 증가로 전환
"고용회복 위한 노동시장 개혁 필요"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임금근로자 신규채용이 2023년 1분기 이후 7분기 연속 줄어들며 채용시장 한파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비자발적 실직자와 초단시간 근로자는 증가해 고용의 질도 악화되며 고용 회복을 위한 노동시장 개혁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 |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는 28일 발표한 '최근 고용 흐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고용시장의 주요 특징을 ▲채용시장 한파 심화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 ▲초단시간 일자리 증가 ▲자영업 감소와 구조 변화로 분석했다.
최근 전체 임금근로자 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신규채용이라 볼 수 있는 근속 3개월 미만 임금근로자 수는 2023년 1분기 이후 7분기 연속 줄어들었다.
구인배수 등 구인 관련 채용지표도 하락세를 보였다. 구인배수는 구인인원을 구직건수로 나눈 지표다. 2021년 0.31에서 2022년, 2023년 0.48로 높아졌다가 2024년 0.46, 2025년 0.28로 낮아지는 추세다.
경총은 "최근 채용시장 한파는 내수부진,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수익성 저하에 따라 기업의 신규채용 수요가 둔화된 것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 |
취업을 위해 졸업을 미루는 청년이 증가하고, 졸업 후에도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면 취업하지 않겠다는 경향도 높았다. 작년 신규 대졸자 19.5만명 중 취업자는 7.7만명으로 39.5%에 그쳤다. 특히 2024년 3월 기준으로 실업자(3.6만명)보다 취업준비자(4.9만명)가 더 많았다.
지난해 비자발적 실직자는 137.3만명으로 2023년보다 8.4% 증가했다. 경총은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는 최근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경기 불황과 수출 둔화의 여파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업종별 비자발적 실직자는 건설시장 불황으로 건설업에서 3.9만명 늘었고, 수출 둔화로 제조업에서 2.1만명 증가했다. 또 내수 부진으로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에서 각각 전년 대비 1.2만명, 2.5만명 늘었다.
![]() |
지난해 주 15시간 미만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140.6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총은 "최근 플랫폼 종사자나 여러 직업을 가지는 'N잡' 증가 등 고용형태가 다변화되면서 초단시간 일자리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작년 늘어난 초단시간 근로자 14.3만명 중 기혼여성이 10.0만명으로 69.7%를 차지했다. 이는 초단시간 근로 수요의 상당 부분이 일·가정 양립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연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로 196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처음으로 20%를 하회했다.
경총은 "자영업자 비중 하락은 내수 침체 등 경기 불황으로 영업이익은 줄고 부채는 증가하면서 장사를 접는 사례가 늘어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작년 연령대별 자영업자는 30대와 40대는 각각 3.5만명, 1.2만명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은 2.3만명 늘었다. 이는 경기침체로 폐업한 30~40대 자영업자들이 많아진 반면, 노동시장 이중구조로 양질의 일자리에 재취업하기 힘든 고령자가 자영업에 지속적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 |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최근 고용시장은 얼어붙은 채용, 원치 않는 퇴사 같은 불안 요인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혼여성 중심의 초단시간 근로 활성화, 고령층의 자영업 유입 확대 등 계층별 노동이동 방향이 뚜렷해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위축된 고용시장을 하루빨리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채용을 옥죄는 노동시장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며, 실직이나 폐업으로 어려움에 처한 인력들이 노동시장으로 빠르게 재진입할 수 있도록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체계를 개선하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