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 국회 예결위원장에 전북 핵심사업 5건 300억원 규모 건의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김관영 전북지사가 정부 추경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에서 총력전을 벌였다고 21일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박정 예산결산특위 위원장을 만나 전북의 핵심사업 5건에 대한 추경예산 반영을 강력히 요청했다.
![]() |
김관영 전북지사(좌)가 박정 예결위원장에게 전북 지역 핵심사업 5건에 대한 추경 예산 반영을 요청하고 있다.[사진=전북자치도] 2025.04.21 lbs0964@newspim.com |
정부는 최악의 산불 피해 복구, 통상 및 AI 지원, 내수 회복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12.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국회 제출을 앞두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사업, AI 지원, 재해대책 등 정부추경 방향과 맞물리는 사업 17건을 발굴해 국회 심사 때 예산 반영을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역 AX 활성화▲인공지능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김제 용지 정착농원 축사매입▲군산항 유지준설▲전북 스타트업 파크 조성 등 5개 사업에 대한 국비 300억 원 지원을 건의했다.
특히 김 지사는 정부의 AI 확산 정책에 맞춰 지역 특화산업의 AI 전환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북·경북 초광역 지역 AX 활성화 사업(30억 원) 및 전북 인공지능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 사업(30억 원)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이 외에도 김 지사는 군산항 유지 준설을 위한 82억 원 증액과 김제 용지 정착농원 잔여 27개 농가 축사매입을 위한 85억 원, 전북 스타트업 파크 조성 설계 용역비 5억 원을 요청하며 군산항의 토사 퇴적 문제 및 창업 인프라 불균형도 지적했다.
김 지사는 "전북은 농생명, 모빌리티, 이차전지 등 지역 특화산업이 밀집해 AI 신뢰성 실증 모델 발굴과 확산의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추경을 통해 AI 신뢰성 분야의 국가 차원 선제적 대응 거점을 전북에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북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핵심사업들이 이번 추경에 반영되도록 도의 역량을 총결집해 국회 활동과 기재부 설득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