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입점 넘어 '차별화된 구현'…양사 시너지 본격화
지분 투자설까지…네이버發 훈풍에 컬리 몸값 회복 기대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은 컬리가 네이버와 손잡고 재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한 업무 협약을 넘어, 네이버가 컬리 지분 투자까지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침체됐던 컬리 주가는 1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에서 컬리 주가는 이날 1만4900원으로 전일 대비 1.36% 상승했다. 지난 18일 컬리와 네이버 간 업무협약 소식이 알려진 직후, 컬리 주가는 1만4700원을 기록하며 약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
김슬아 주식회사 마켓 컬리 대표가 2019 벤처천억기업 기념식에서 성공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이번 협약에 따라 컬리는 연내 자사 신선식품을 네이버의 쇼핑 전용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입점시킬 계획이다. 컬리로서는 주요 판매 경로가 확대되는 셈이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달 쇼핑 기능을 분리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을 출시했으며, 한 달 만에 다운로드 수가 500만 건을 넘어서며 커머스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양사의 협업은 상호 보완적이라는 평가다. 네이버는 부족했던 신선식품 카테고리를 강화할 수 있고, 컬리는 자사 앱을 넘어 판로를 넓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다만 앞전까지 컬리에 위기감이 감돌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컬리에 파급 효과가 더 크다. 컬리는 취급 상품군이 다른 경쟁사에 비해 다양하다는 점에 강점이 있다. 이 덕분에 가격이 좀 비싸더라도 새롭고 특별한 식재료를 원하는 '강남맘 필수앱'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유통업계에서도 '가성비'나 '초저가'를 중시하는 문화가 자리잡자 최근까지 뚜렷한 경쟁력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 |
[사진=네이버] |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단순 협약을 넘어 컬리의 소수 지분 인수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거래 대상은 약 10% 미만의 구주로, 이미 컬리에 투자한 초기 투자자의 지분이 검토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성장세가 줄어든 컬리로서는 네이버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거래액 고성장을 재개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네이버가 컬리 지분 투자를 고려 중이라는 언론 보도도 전해진 바 있어 추가적인 협업 확대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컬리의 기업가치가 지금보다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과거 컬리는 코로나19 특수로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성장할 당시 유니콘 기업으로 떠올랐다. 2015년부터 6년간 7차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기업가치가 4조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러나 컬리는 당시 시장상황 악화 및 밸류 이견으로 공모를 철회했다.이후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컬리의 기업가치는 1조 원 이하로 하락했다. 이번 네이버와의 협력을 계기로 신규 고객 유입과 매출 증가 효과가 현실화될 경우, 컬리가 IPO 재도전을 시도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컬리는 IPO 관련 질문에 대해선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며 당분간은 네이버 입점과 자체 성장성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컬리 관계자는 "이번 입점은 단순 유통 채널 확대가 아니라, 상품 큐레이션부터 배송까지 컬리몰과 동일한 수준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른 개발 공수가 상당하다"며 "현재로서는 입점 구현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외의 논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신선식품 분야의 차별화된 상품 소싱을 이어가는 동시에 뷰티컬리 브랜드 강화, 패션·리빙 카테고리 확대, 컬리라운지 등 커뮤니티 기능 강화에도 힘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이번 협업으로 컬리앱 자체 충성 고객을 잃고 네이버로 고객 유출이 따를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에 대해서는 "컬리몰에서 컬리를 잘 쓰던 고객이 네이버로 가서 컬리를 쓸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며 "컬리를 잘 쓰지 않았던 네이버의 고객들이 컬리를 새롭게 만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규 고객 확보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