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홍준표·이철우 '개헌'…나경원 '의회 독재' 개선
김문수 '청년정책'…안철수·양향자·한동훈 'AI'
[서울=뉴스핌] 박서영 신정인기자 =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선 후보자들이 개헌과 청년 정책, 인공지능(AI) 등 각자 경쟁력이 있는 분야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정치권에 오래 몸 담은 유정복 후보, 홍준표 후보, 이철후 후보, 나경원 후보 등은 개헌과 의회 독재 개선을 화두로 제시했다. 노동계 출신인 김문수 후보는 청년 정책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안철수 후보와 양향자 후보는 본인 경쟁력을 살릴 수 있는 AI를 비전으로 꺼냈다. 한동훈 후보 또한 미래를 얘기하며 AI를 제시했다.
![]() |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18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후보자 국민의힘 1차 경선 후보자 비전대회' 에 참석한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정복, 홍준표, 김문수, 안철수, 양향자, 나경원, 이철우, 한동훈 후보. 2025.04.18 photo@newspim.com |
국민의힘은 18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제21대 대통령후보자 국민의힘 1차 경선 후보자 비전대회'를 열였다.
이날 8명의 후보들은 '대한민국의 도약과 미래'를 주제로 각각 10분 동안 자신의 비전을 제시했다. 발표는 사전 추첨에 따라 유정복·홍준표·김문수·안철수·양향자·나경원·이철우·한동훈 후보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유정복 후보는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 후보는 "중대선거구제로 조정하고 양원제를 실시해서 국회의 무소불위 권력 행사를 제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정복 후보는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국회 및 수도 이전을 언급하며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대개혁이 필요하다"고 했다.
홍준표 후보 또한 대대적인 개혁을 예고하며 "대한민국 국호 빼고 다 바꾸겠다"고 자신했다. 구체적으로는 4년 중임제와 선출직 부통령제 도입, 미래 전략원 설립과 행정부처 통폐합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김문수 후보는 '청년 정책'을 앞세웠다. 대학가에 청년 주택 5만호를 공급하고 미래 산업 맞춤형 인재을 양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부동산 세제 정상화,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공급확대, 신혼주택 15만 가구 공급 등 이른바 '내집 마련'을 겨냥한 정책 등을 제시했다.
안철수 후보는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며 "AI, 반도체, 바이오 등 미래 주력산업을 발전시키고 의료개혁을 완수하고 과학기술을 이해하며 기업가 정신으로 진짜 성장을 만들 사람"이라고 피력했다.
양향자 후보는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전국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공약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과학기술 및 AI 인재 양성을 강조하며 국민소득 10만 달러 목표치를 내세웠다.
나경원 후보는 제왕적 의회독재의 문제점을 꼬집으며 제도 개선을 강조했다. 나 후보는 "국회가 대통령을 탄핵하는 데 대통령에게도 국회 해산권 있어야 되지 않겠는가. 탄핵되면 직무정지 되는 것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밖에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폐지, 선거관리위원회 개혁, 사전 투표제 폐지 등을 내걸었다.
이철우 후보는 책임총리제를 통한 지방분권을 주장했다. 이 후보는 "헌법 체제를 바꾸고 강화해야 한다"며 "충청도, 전라도, 부울경, 대구·경북 등 수도권과 똑같이 지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한동훈 후보는 AI G3 국민소득 4만달러, 중산층 70% 확대를 목표로 하는 이른바 '3,4,7' 비전을 제시했다. 또 '경제 나토 창설', '5대 메가폴리스 정책' 등을 통해 안보 강화와 지방분권을 실천하겠다는 계획이다.
se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