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위 BBQ, 1위인 bhc 턱밑 추격...매출 격차 100억원 미만
업계 대표 앙숙 관계...법적다툼 끝, 이젠 치킨 자존심 대결
"불황이 기회일 수도"...올해 가맹점 확대 경쟁 전면에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bhc와 BBQ가 올해 치킨업계 매출 1위를 놓고 맞붙는다. 양사는 2013년부터 10년 넘게 법정다툼을 벌인 앙숙이다. 이른바 '치킨전쟁'이 마무리 된지 1년여 만에 양사의 자존심 대결이 본격화 됐다. BBQ는 최근 매운 치킨인 '땡쇼크', '마라핫'을 연달아 출시하며 공세를 시작했고 bhc는 '콰삭킹'을 중심으로 1위 수성에 나선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bhc치킨을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은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 5127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에 이어 치킨 프랜차이즈 1위를 지켰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 줄어든 수치이나 영업이익은 1337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늘었다.
![]() |
[BHC, BBQ 로고, [사진=각사] |
다이닝브랜즈그룹 측은 지난해 매출이 줄어든 것은 할인 프로모션을 전년 대비 3배 늘린 탓이라고 설명했다. 판매된 상품 개수를 고려하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BBQ는 지난해 매출이 증가하며 1위인 bhc를 바짝 추격했다. 제너시스BBQ 그룹은 지난해 별도기준 BBQ 매출은 5032억원으로 전년보다 6.3% 늘었다. 영업이익도 783억원으로 전년(554억원)보다 41.3%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5.6%다.
BBQ 측은 매출 증가에 대해 대형 직영점 매장이 늘어난 것을 요인으로 지목했다. BBQ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매장 수를 비롯해 직영점의 대형 매장의 매출이 늘면서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며 "영업이익은 광고비 절감, 직영점 수익 증가 등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BBQ와 bhc의 매출 격차는 100억원 미만으로 크게 줄었다. 지난 2023년 624억원에 달했던 매출 차이는 지난해 95억원이 됐다. BBQ와의 격차가 크게 줄어든 만큼 올해 이 기록이 뒤바뀔 가능성도 나온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치킨업계 매출 1위를 지킨 bhc의 1위 자리가 위태로워진 셈이다.
특히 양사는 2013년부터 10년 넘게 법적다툼을 벌인 업계 대표 앙숙 관계다. 두 회사의 치킨전쟁은 2013년 BBQ가 bhc를 매각한 후부터 시작됐다. BBQ는 2013년 bhc를 미국의 씨티그룹 계열 사모펀드 CVCI(현 로하틴)에 1130억원에 매각했다.
매각 완료 직후 CVCI는 가맹점포 수 분류기준차이 등 매도인의 진술과 보증조항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2014년 ICC(국제상업회의소) 산하 국제중재법원에 분쟁을 신청했다. 한 지붕 두 가족이었던 양사가 이 매각 건을 계기로 원수로 돌아섰다. ICC는 CVCI 주장을 받아들여 2017년 BBQ에 약 98억원의 배상 판정을 내렸고 이후 양사는 20여개 가량의 소송전을 주고 받으며 치열한 법적다툼을 벌였다.
2023년에는 대법원이 BBQ가 bhc를 상대로 제기한 영업비밀침해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bhc 손을 들어준 원심을 확정했다. 양사의 법적 분쟁의 큰 줄기가 일단락 된 것이다. 해당 결과를 놓고 양사는 '서로 이겼다'고 주장하며 자존심을 세웠다.
![]() |
[사진= 뉴스핌DB] |
지난한 치킨전쟁을 끝낸 양사는 1년여 만에 치킨업계 매출 1위를 차지하기 위한 자존심 대결을 벌이게 됐다. bhc가 2022년 기존 1위였던 교촌치킨을 제치고 1위에 오른데 이어 만년 3위 BBQ가 2위로 치고 올라오면서 1위와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어서다.
BBQ는 치킨업계 최다 매장을 앞세워 세를 넓히고 있다. 2023년 기준 BBQ의 매장은 총 2324곳이다. 최근 들어 BBQ는 연간 100곳 안팎으로 매장 수를 늘리고 있다. 직영점 수는 80곳으로 1년 만에 10곳이나 늘렸다. 주력 상권 곳곳에 직접 운영하는 대형 매장을 확대해 홍보효과를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bhc의 2023년 기준 매장 수는 총 2293곳이다. bhc의 가맹점 증가 속도는 더 빠르다. 2022년 전년 대비 221곳의 가맹점을 추가한 bhc는 2023년 기존 대비 296곳을 더 늘렸다. 반면 직영점은 2021년 9곳에서 2023년 2곳으로 줄였다. 직영점을 확대한 BBQ와는 정반대 전략이다.
양사의 치킨 맛 대결도 주목할 만 하다. bhc는 지난 2월 '콰삭킹'을 출시, 히트상품으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에는 기존 연간 2개였던 신메뉴 수를 늘려 콰삭킹 포함 3개 메뉴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자사앱에서는 중복 적용 가능한 2000원, 3000원 쿠폰을 뿌리는 이벤트를 전개 중이다.
BBQ는 젊은 세대 공략을 위해 최근 '마라핫' 치킨을 다시 선보였다. 2016년 나왔다 단종된 이 제품은 소비자 요청에 힘입어 재등판하게 됐다. 1~3단계 맵기를 선택해 주문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지난달에는 캐롤라인 리퍼 고추를 넣은 '땡쇼크' 치킨을 내놨다. 자사앱에서는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치킨 주문 시 치킨 반마리를 추가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했으며 최근에는 마라핫, 땡쇼크 등 치킨 주문 시 치즈볼을 증정하고 있다.
외식업계 불황이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침체된 시장을 오히려 기회로 보고 있다. 불황이 심할수록 개인 창업이 아닌 프랜차이즈 창업 문을 두드리는 이들이 늘기 때문이다.
실제 공정거래위원회의 '2024년 가맹사업 분석현황'을 보면 2023년 국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전년대비 3.9% 증가하면서 전체 소상공인과의 격차를 더 벌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흐름에 힘입어 치킨 매출 1위를 놓고 맞붙는 bhc와 BBQ의 가맹점 확대 경쟁도 더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불황일수록 외식 창업을 생각하는 이들이 늘고 그 중에서도 개인매장이 아닌 비교적 안정적인 프랜차이즈를 찾는 비중이 커진다"며 "외식 시장이 어렵다고 하지만 지난해 주요 치킨업체 대부분이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