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손지호 인턴기자 = 국가유산청은 오는 20일 5년간의 대규모 수리를 마친 종묘 정전을 공개하고, 창덕궁에 임시로 모셨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들을 본래의 자리로 다시 모시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식'을 개최한다.
종묘 정전은 600년이 넘도록 왕실 제례가 이어져 온 한국 전통 건축의 정수로 1985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균열, 기와 탈락, 목재의 노후화 문제가 지속 확인되면서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5년에 걸쳐 수리를 진행했다.
![]() |
[서울=뉴스핌] 수리 완료된 종묘 정전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2025.04.16 thswlgh50@newspim.com |
이번 수리는 1991년 이후 약 30년 만에 이뤄진 대대적인 수리로 현대 과학 기술을 접목하여 역사적, 기술적, 미학적 가치를 더욱 강화했다. 특히 수리 과정에서 연륜연대조사를 통해 광해군 대의 목재를 확인하는 등 종묘 정전의 건축사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었다.
국가유산청은 종묘 정전 수리가 완료됨에 따라 창덕궁 구(舊)선원전에 임시 봉안했던 신주를 다시 제자리로 모셔 오는 환안제를 4월 20일 오후 2시 창덕궁 금호문 앞에서 시작한다.
155년 만에 이루어지는 이번 환안제에서는 광화문과 세종대로, 종로를 거쳐 종묘까지 약 3.5km 구간을 행진하며, 사전 모집한 200명의 시민 행렬단을 비롯해 총 11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환안 행렬이 펼쳐진다. 국가유산청이『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를 바탕으로 장인들과 특별히 제작한 신여, 신연, 향용정을 포함해 전국에서 확보한 총 28기의 가마가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른다.
같은 날 오후 2시부터 3시까지는 경복궁 광화문 월대 옆 잔디밭에서 풍물놀이, 줄타기, 탈춤, 사자춤 등 전통 연희 공연이 함께 열릴 예정이다.
환안 행렬이 종묘에 도착한 후 오후 6시 30분부터는 수리를 마치고 첫 공개되는 종묘 정전에서 고유제와 준공기념식이 진행된다. 고유제는 약 200여 명이 참여하여 전통 절차에 따라 봉행 되며, 준공기념식에서는 수리 과정 영상 상영, 종묘 정전 월대 위에서 외벽 영상과 함께 약 60명의 무용수가 참여하는 특별 공연이 펼쳐져 오래도록 기억될 감동을 전할 것이다.
국가유산청은 "국민과 함께하는 이번 환안제를 통해 수리를 마치고 돌아온 종묘 정전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고, 600년을 이어온 제례 전통이 다시 재현되는 오늘이 전통과 현재, 미래를 잇는 소중한 연결고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