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층 '정권 재창출' 34.1%, '정권 교체' 35.1%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이번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정권 교체)'는 응답이 54.4%로 '정권 재창출을 위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정권 재창출)'는 응답(37.5%)보다 훨씬 많았다. 다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에도 중도층 사이에서 '정권 재창출'과 '정권 교체'의 격차는 크지 않았다.
이는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0일 발표한 ARS(자동 응답 시스템)조사 결과다.
![]() |
지지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정권 재창출'이 1.5%, '정권 교체'가 97.1%, '잘 모름'이 1.5%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정권 재창출'이 94.4%, '정권 교체' 1.7%, '잘 모름'이 3.8%였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선 '정권 재창출'이 6.5%, '정권 교체' 82.2%, '잘 모름' 11.2%였다.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정권 재창출'이 36.8%, '정권 교체' 14.0%, '잘 모름'이 49.2%였다.
진보당 지지층에선 '정권 교체'가 100.0%였다. 기타 정당 지지층에선 '정권 재창출'이 24.4%, '정권 교체' 22.8%, '잘 모름' 52.8%였다.
지지정당 없음에선 '정권 재창출'이 34.1%, '정권 교체' 35.1%, '잘 모름' 30.8%였다. (지지정당) 잘 모름에선 '정권 재창출'이 20.8%, '정권 교체' 10.1%, '잘 모름'이 69.2%다.
연령별로 보면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정권 교체'가 '정권 재창출'보다 앞섰다.
만18~29세는 '정권 재창출'이 31.2%, '정권 교체' 59.8%, '잘 모름' 8.9%다. 30대는 '정권 재창출'이 38.2%, '정권 교체' 49.0%, '잘 모름' 12.8%다. 40대는 '정권 재창출'이 29.4%, '정권 교체' 64.9%, '잘 모름' 5.7%다.
50대는 '정권 재창출'이 31.0%, '정권 교체' 61.3%, '잘 모름' 7.7%다. 60대는 '정권 재창출'이 43.5%, '정권 교체' 48.9%, '잘 모름' 7.6%다.
70대 이상은 '정권 재창출'이 54.4%, '정권 교체' 39.0%, '잘 모름'이 6.6%다.
성별로는 남성은 '정권 재창출'이 39.8%, '정권 교체' 54.2%, '잘 모름' 6.0%다. 여성은 '정권 재창출'이 35.3%, '정권 교체' 54.5%, '잘 모름'이 10.2%다.
지역별로 보면 먼저 서울은 '정권 재창출'이 35.7%, '정권 교체' 54.2%, '잘 모름' 10.2%다.
경기·인천은 '정권 재창출'이 36.7%, '정권 교체' 56.3%, '잘 모름' 6.9%다.
대전·충청·세종은 '정권 재창출'이 29.5%, '정권 교체' 59.6%, '잘 모름' 11.0%다.
강원·제주는 '정권 재창출'이 30.2%, '정권 교체' 65.4%, '잘 모름' 4.4%다.
부산·울산·경남은 '정권 재창출'이 49.7%, '정권 교체' 44.8%, '잘 모름' 5.5%다.
대구·경북은 '정권 재창출'이 49.5%, '정권 교체' 39.7%, '잘 모름' 10.8%다.
광주·전남·전북은 '정권 재창출'이 25.3%, '정권 교체' 67.1%, '잘 모름' 7.6%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정권 교체를 위해 민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국민 여론이 과반수를 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은 앞으로의 정치적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에도 중도층은 아직 민주당에 대해 전향적으로 돌아서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가 여전히 중도층에 넓게 형성돼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했다.
이어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민주당이 차기 대선 전략에서 중도층을 끌어안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되는 것을 보여준다"고 부연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llpa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