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학습 LLM 기반 스미싱 판별 서비스로 금융 보안 강화
주요 대학 산학협력으로 연구 성과 창출…서비스 혁신 가속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올해 설립 4년차를 맞은 금융기술연구소가 인공지능(AI) 금융 보안 기술의 실서비스 적용, 산학협력 생태계 구축, 연구 성과 발표 등 성과를 내며 금융분야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는 금융과 기술을 융합해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지난 2021년 설립됐다. 이후 자체 학습한 LLM(거대언어모델)과 고성능 AI 언어모델 '버트'(BERT)를 기반으로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개발해 성공적으로 상용화했다.
![]() |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금지난 2021년 설립한 금융기술연구소 인공지능(AI) 금융 보안 기술의 실서비스 적용, 산학협력 생태계 구축, 연구 성과 발표 등 성과를 가시화하며 금융분야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카카오뱅크] |
지난해 12월 출시된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는 스미싱 위험 문자를 분석하고, 고객에게 "출처가 불분명한 URL 포함", "배송 사기 스미싱의 한 사례" 등 구체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해 보안 위협을 경고한다. 출시 후 3개월 만에 누적 21만 명이 넘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며 금융 사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금융 생활 밀접형 보안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카카오뱅크는 KAIST, 고려대 등 주요 대학과 협력해 첨단 AI 기술 연구를 공동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금융분야 설명 가능 인공지능(eXplainable AI, XAI) 연구, 대규모 언어모델 평가방법론 연구 등 다채로운 연구 성과를 거뒀다.
이 과정에서 카금융기술연구소는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제도의 망분리 규제 특례를 적용받아 연구 과정에서 학생과 임직원이 더욱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이를 토대로 산학 협력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기술을 더욱 신속하게 상호 검증하고 고도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는 금융사의 연구·개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 수립에도 주요 참고 사례로 활용됐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NeurIPS, BMVC, EMNLP 등 세계적 권위의 AI 학술대회에서 금융 데이터 생성, 얼굴 인식 기술, 금융 보안 등을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AI 기반 대화형 추천, 자동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산출하며 금융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향후에도 금융기술연구소는 논문 발표, 특허 출원 등을 지속하며 혁신적인 금융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금융과 기술을 융합하고 혁신적인 연구로 금융 생태계에 기여하는 것이 연구소의 목표"라며 "앞으로도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실서비스와 접목해 카카오뱅크만의 차별화된 금융 기술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jane9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