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중국 통신 장비 업체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개발한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생산 수율을 크게 끌어올렸다는 보도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25일 소식통을 인용해 화웨이가 중신궈지(SMIC)를 통해 제조하는 최신 AI 반도체의 생산 수율이 40% 가까이로 향상됐다고 보도했다. 1년 전 20%와 비교해 2배가량 높아진 것으로, 이제 AI 반도체 생산 라인의 수익성을 확보하는 단계에 올라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율은 생산품 대비 정상품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수율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향상되고 기업의 매출과 직결된다.
![]() |
화웨이 이미지 [신화사=뉴스핌 특약] |
컨설팅 업체 크리에이티브 스트래티지스의 오스틴 라이언스 반도체 애널리스트는 화웨이의 40% 수율을 비슷한 성능의 엔비디아의 AI용 GPU(그래픽 처리 장치) 'H100'을 위탁 생산하는 대만 TSMC의 60%와 비교하며, 화웨이가 40%의 수율로 상용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앞으로 수율을 유사한 제품 표준으로 볼 수 있는 60%까지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화웨이의 수율 향상은 미국이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을 막기 위해 관련 제품의 대중국 수출을 통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AI 산업 자립에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목표에 한층 가까워졌음을 보여준다.
화웨이는 현재 중국 반도체 제조업체 SMIC와 협력해 AI 칩 '어센드(Ascend)' 시리즈를 생산하고 있다.
SMIC는 'N+2'로 명명한 7나노미터(nm) 공정을 이용해 화웨이의 AI 가속기를 생산하고 있는데,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인 ASML의 극자외선(EUV)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가장 미세한 공정이다.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ASML의 EUV 장비 수입이 막힌 SMIC는 EUV 없이 7나노미터 공정에 나서며 형편없는 수율을 기록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수율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FT는 화웨이가 올해 910B 30만 개와 910C 10만 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며, 지난해 어센드 910B 20만 개를 생산하고 910C는 대량 생산이 없었던 것과 비교할 때, SMIC의 생산 능력이 크게 개선됐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중국 기업들이 딥시크 인공지능(AI) 모델을 잇따라 채택하면서 엔비디아의 저사양 칩인 'H20'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텐센트·알리바바·바이트댄스 등 중국 빅테크들이 엔비디아의 H20 칩 주문을 상당히 늘렸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미국 정부의 고사양 AI 반도체 수출 통제로 구매가 힘든 H100 대신 상대적으로 저사양인 H800과 H20을 AI 모델 훈련에 사용했다. 현재는 H800도 중국 수출길이 막혔으며, 향후 H20도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