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경영연구소, 주택시장 분석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0.15%
고강도 대출 규제·지방 중심 가격 하락세로 시장 침체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대출 규제와 시장 불확실성이 겹치며 전국 주택시장이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요가 견조한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당분간 거래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
(왼)월간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 (오)매매가격 전망지수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
25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은 -0.10%를 기록하며 전월(-0.07%) 대비 낙폭을 늘렸다. 내수 부진에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지방과 수도권 외곽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0.15%, 연립주택 -0.06%로 각각 전월보다 0.04%포인트(p), 0.02%포인트 감소했다. 단독주택(0.06%)은 오름세를 유지했으나 상승 폭은 전월(0.08%) 대비 둔화됐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 전세가격 변동률은 -0.02%로 하락 전환했다. 수요가 두터운 서울에선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인천, 대구 등 일부 지역의 입주 물량 증가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5.9로 전월(102.4) 대비 소폭 개선됐다. 지방(98.8→99.6) 또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하서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말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며 하락세로 전환된 서울 동북권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의 거래가 회복되며 가격 하락세가 완화되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고금리 여건 속 가계 부채 관리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매도자와 매수자 간 호가 격차는 여전한 상황이다. 지난해 9월 36.5였던 주택 매수우위지수는 지난달 25.7로 내려왔다. 매수우위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매수자가 많음을,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다.
하 연구원은 "정국 불안이 해소돼 규제 완화 등 정책 향방이 가시화되고, 기준금리가 떨어지면서 대출 금리도 하락해야 매매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며 "7월부터 도입되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등 부채관리 강화 정책은 거래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