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뉴욕증시가 10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발표가 시장 압박이 되기보다는 미국 내 관련 주 주가에 보탬이 됐고, 기술주도 상승 흐름을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38% 오른 4만 4470.41을 기록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67% 상승한 6066.44에 마감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98% 전진한 1만 9714.27로 집계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는 시장에 일시적인 충격을 주었으나, 투자자들은 이를 협상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하며 주식 매수에 나섰다.
북미 최대의 평판 압연 철강 생산업체인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주가는 17.93% 뛰었고, 글로벌 주요 알루미늄 생산업체 센추리 알루미늄은 10.22% 급등했다. US스틸 주가와 알코아도 각각 4.79%, 2.21% 올랐다.
기술주도 이날 상승 분위기를 주도했다. 엔비디아는 2.87% 올라 5거래일 연속 상승을 이어갔고 브로드컴은 4.52% 상승했다. 메타는 16거래일 연속 올랐다.
투자자들은 트럼프가 예고한 상호 관세 관련 추가 내용과 더불어 12일 발표될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압박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기록했다.
범유럽 STOXX 600 지수는 전일 대비 0.58% 상승한 545.92로 마감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독일 DAX 지수는 0.57% 상승한 2만1911, 영국 FTSE 100 지수는 0.77% 오른 8767.80으로 마감했다. 프랑스 CAC40 지수와 이탈리아 FTSE-MIB 지수도 각각 0.42%, 0.50% 올랐다.
유럽 시장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관세 위협이 결국은 협상용에 그칠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모히트 쿠마르 유럽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는 시장의 변동성을 유발하지만 협상 도구에 그칠 것이라는 견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유럽이 (미국의) 다음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향후 몇 주 동안 변동성이 더 커질 여지는 있다"고 전망했다.
인도 증시는 트럼프발 관세 우려로 하락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70% 하락한 7만7311.80, 니프티50 지수는 0.76% 하락한 2만3381.60으로 마감했다.
증시 전반에 걸쳐 매도세가 유입된 가운데, 중소형주의 낙폭이 컸다. 인도 증시 시가총액은 직전 거래일의 424조 루피(약 7042조 6400억원)에서 418조 루피로 감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조만간 적용할 것이라고 밝힌 것이 투자자 자신감을 위축시켰다
중소형주의 낙폭이 컸으며, 제약주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알켐 래버러토리와 Ipca 래버러토리는 각각 6.80%, 4.20% 급락했다.
미 국채 시장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 채권 시장 오후 거래에서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50%,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72%로 각각 1.20bp(1bp=0.01%포인트), 2.3bp 상승했다. 단기물인 2년물 수익률은 4.27%로 전장과 변함없었다.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며, 달러화 지수는 0.21% 상승한 108.31을 기록했다. 유로와 엔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으며, 이는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안전자산 금값은 이날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2900달러도 넘어섰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4월물은 1.6% 상승하여 2,934.40달러에 마감됐다. 금 현물은 장 후반 1.6% 상승하여 온스당 2905.24달러에 거래됐으며 장중 2911.30달러까지 올랐다.
국제 유가도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3월물은 전장보다 1.86% 오른 배럴당 72.3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4월물은 1.62% 오른 75.87달러를 기록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