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웰타워, '실버 쓰나미' 올라탔다…AI 항해술 주목①

기사입력 : 2024년11월05일 16:52

최종수정 : 2024년11월05일 16:53

노인주택 리츠 웰타워, 주가 아웃퍼폼 상당
외형 외 내형도 견실, 이익률 20%대 증가
가팔라지는 노인 증가 속도, 추세 '훈풍'

이 기사는 10월 16일 오후 3시3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노인주택 투자·운영회사인 웰타워(종목코드: WELL)에 대해 월가에서 장기적인 고성장 관측과 함께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의견이 제시됐다. 고령화라는 대외적 추세가 주는 기회를 인공지능(AI)을 통해 효율적으로 포착하는 소위 '실버 쓰나미' 속에서의 웰타워 만의 'AI 항해술'이 주목받고 있다.

웰타워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웰타워]

1. 상당한 '아웃퍼폼'

웰타워는 주택뿐 아니라 노인용 의료 인프라 시설을 소유·임대해 수입을 얻는 부동산신탁투자(리츠) 회사다. 총 2100여곳에 해당하는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유 중이고 관련 사업은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캐나다와 영국에도 진출한 상태이지만 매출의 85%가 미국에서 창출된다.

구체적으로 웰타워의 사업은 4가지다. ①노인주택 운영 ②노인주택 임대(트리플넷) ③외래 의료시설 임대 ④장기·급성 후 요양시설 임대 등이다. 이 가운데서 비중이 큰 것은 ①인데 관련 시설이 1005곳으로 직접 운영과 운영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한 관리 방식을 섞어 사업을 전개한다. 그 다음으로 큰 게 664곳을 보유한 ②다. 총 부동산 가치의 약 80%가 노인주거 부문이다.

*트리플넷 임대는 임차인이 임대료뿐 아니라 부동산 세금·보험·유지보수 비용을 모두 부담하는 형태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기본 임대료가 낮게 책정되고 주로 장기(10~20년) 계약으로 체결돼 임차인으로서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임대인은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안정적인 임대 수입을 얻을 수 있고 대규모 사업자일수록 시설 여러 곳을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웰타워 주가는 현재 129.25달러(15일 종가)로 올해 들어 43% 상승해 같은 기간 주가지수 S&P500의 22%나 미국 리츠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USRT의 12%, 경쟁사 벤타스(VTR) 29%를 대폭 상회한다. 최근 3년 사이 웰타워의 주가는 2022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공격적인 정책금리 인상 때 하락했다가 당해 10월 저점을 찍고 우상향하고 있다. 최근 3년 수익률 아웃퍼폼 정도도 상당하다. 웰타워의 수익률은 68%인 한편 USRT는 9%, 벤타스는 29%, S&P500은 31%다.

웰타워(노란색)과 S&P500(보라색), 벤타스(붉은색), USRT(파란색)의 3년 총수익률 비교 [자료=코이핀]

2. 안정적이고 고수익

웰타워 주가가 큰 폭으로 아웃퍼폼이 가능했던 것은 단연 우수한 경영 실적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다. 매출액이 작년 연간 14% 증가한 가운데 올해 들어서도 분기별로 1분기와 2분기 각각 19%와 14%라는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고령 인구 증가 추세와 이를 활용하려는 웰타워의 적극적인 자산 인수 실적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예로 웰타워는 2분기에만 약 17건의 거래를 통해 82개의 노인 주거시설(주거공간 총 7000곳)을 인수했다.

노인 주거시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웰타워는 주력 사업부인 노인주택 운영, 즉 시니어주택 운영포트폴리오(SHOP) 사업에서 가격결정력을 갖게 됐다. 기존시설의 올해 2분기 입주율(=입주된 시설÷전체 사용 가능 시설×100%)이 전년동기 대비 280bp 상승한 가운데 입주공간당 매출액(RevPOR)은 5.3% 늘었다. 입주율을 통해 관련 시설에 대한 수요를, 입주공간당 매출액 증가율을 통해 단가 인상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분기별 입주공간당 매출액 증가율은 5% 내외의 증가세를 꾸준히 기록 중이다.

외형뿐 아니라 내실도 견실하다. 웰타워의 SHOP 사업부의 NOI의 증가율이 올해 2분기 22%를 나타내 6개 분기 연속 20% 이상의 증가율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NOI는 순영업이익을 뜻하는 영문 'Net Operating Income'의 약어로 총운영수입(임대료 등)에서 운영비용(유지보수·재산세·보험·관리비·공과금 등)을 차감해 계산한다. 채무 원리금 상환이나 감가상각비는 제외하는 수치로 부동산 수익성을 판단할 때 일종의 지표처럼 쓰인다.

웰타워 주가 5년 추이 [자료=코이핀]

관련 사업부의 수익성은 높은 편이다. 웰타워는 노인주택 입주자의 초점을 '저요양 수준'의 노인에게 두고 있는데 관련 입주자의 시설은 운영 비용이 낮다. 이들은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필요 없고 의료 지원의 경우 급성 질환용 서비스보다 예방적 관리가 주되기 때문에 인력 투입이 비교적 적고 장기 거주 의향이 높다. 이런 특성의 조합은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2분기 입주공간당비용 증가율이 1%로 낮아진 데서 이를 짐작할 수 있다.

3. 직접운영의 강화

웰타워를 둘러싼 거시적 추세의 방향은 훈풍이다. 미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990년 12.5%, 2010년 13.3%였다가 2022년 17%로 증가했다. 버지니아대학교 산하 연구기관인 웰던쿠퍼센터에 따르면 2030년에는 관련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 속도가 가팔라지는 모습으로 그 이유는 베이비붐 세대(1946년~1964년 출생)의 고령화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