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맹신 말라" 경고음 여전
이 기사는 3월 13일 오후 3시3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오상용 글로벌경제 전문기자 = *①편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4. 위험변수
오는 6월 미국과 유로존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가 동시에 개시될 것이라는 기대는 완전히 `따 놓은 당상`은 아니다.
이 기대에 찬물을 끼얹을 주요 위험 변수는 역시 미국의 물가 동향이다. 간밤 (3월12일) 뉴욕증시는 애써 외면했지만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CPI)는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6월 약속`이 실망감으로 변질될 위험을 드리웠다.
새해 들어 미국의 CPI 상승률은 두 달 연속 시장 예상을 웃도는 서프라이즈를 연출했다. 오는 목요일(3월14일) 공개될 2월 생산자물가(PPI)도 예상을 웃도는 상승률을 보인다면(특히 PPI의 의료비 항목과 금융 서비스 항목의 오름세가 두드러진다면) 연준이 중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표도 끈적한 인플레이션 양상을 재차 확인시켜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2월 근원 CPI는 전월비 0.4% 상승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장 예상치(0.3%)도 웃돌았다 [사진=블룸버그] |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2월 근원 CPI는 전월비 0.4% 올랐다. 이코노미스트들은 0.3%로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전월 수준(0.4%)을 유지했다. 헤드라인 CPI의 전월비 상승률은 1월 0.3%에서 0.4%로 고도를 높여 예상에 부합했다.
근원 CPI의 전년동월비 상승률은 전월 3.9%에서 3.8%로 둔화했지만 예상(3.7%)을 웃돌았다. 헤드라인 CPI의 전년동월비 상승률은 전월 3.1%에서 3.2%로 높아져 예상치(3.1%)를 상회했다.
CPI 항목중 가중치가 가장 큰 주거비의 전월비 상승률은 1월 0.6%에서 0.4%로 둔화했고 연준이 주시하는 슈퍼코어 물가(주거비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 물가)의 상승률(m/n)은 1월의 0.8%에서 0.5%로 둔화했다. 다만 절대 레벨은 방심을 불허할 만큼 여전히 높다.
이처럼 서비스 물가의 끈적한 오름세가 이어진 가운데 그간 디스인플레이션을 이끌었던 근원 재화의 물가가 상승세(전월비 0.1% 상승)로 돌아서 긴장감을 더했다. 지난달 3.4%(m/m) 급락했던 중고차 가격이 0.5% 반등했고, 의류 가격도 한달 사이 0.6% 뛰었다.
미국의 2월 헤드라인 및 근원 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사진=블룸버그] |
5. 배신자가 속출한다면
예상을 웃돈 CPI 오름세에도 뉴욕증시는 큰 동요가 없었다. 머니마켓도 `6월 첫 금리인하`전망을 허물지 않았다. 두달 연속 이어진 물가 서프라이즈를 연초 발생하는 노이즈로 간주하는 움직임이 역력했다. 오히려 자가주거비(OER : 집주인 귀속임대료) 상승률과 슈퍼코어 상승률이 둔화한 것에서 위안을 찾는 이들도 있었다.
몇차례 지적했듯 미국 물가지표는 연초(1~2월) 잡음이 많이 끼는 편이다. 기업들의 재화 및 서비스 가격 조정이 연초 집중되는 경우가 많아서다(노동 계약과 공급업체 계약이 연초 재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변동성과 순환성을 감안해 노동부도 물가 통계 작성시 계절조정을 하지만 완벽하지는 않다. 1~2월의 물가상승률이 큰 진폭을 보이는 이유다.
다만 일회성 노이즈에 그치지 않고 3월 이후로도 인플레이션 모멘텀의 역주행이 지속된다면 시장이 기대하는 `6월의 약속`은 물거품이 될 위험에 놓인다.
실제 근원 CPI의 6개월 연율 상승률은 2월중 3.9%를 나타내 작년 11월 저점(3.1%)에서 계속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비앙코 리서치의 짐 비앙코도 지적했듯 물가의 기저 흐름이 작년 여름 바닥을 치고 반등한다는 신호는 슈퍼코어의 6개월 연율환산 상승률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2월중 5.9%를 기록하며 작년 8월 이후 꾸준히 고도를 높이는 중이다.
끈적한 인플레이션 때문에 연준의 금리인하가 하반기로 미뤄질 경우 ECB도 첫 금리인하 시점을 늦춰야할지 모른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주 ECB는 연준 일정에 구애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움직인다고 했지만 아무래도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렇게 연준과 ECB의 6월 금리인하가 무산되면 주변 중앙은행들 역시 눈치를 봐야한다.
미국 CPI의 주요 항목별 전월비 상승률 변동 추이 [사진=macromicro] |
6. 경고음 vs "연준 바람대로.."
미국 재무장관을 지냈던 래리 서머스는 지난 3월8일 미국의 고용지표가 공개된 직후 "연준의 올해 금리 인하를 맹신하지 말라"는 경고음을 재차 날렸다.
서머스는 "지난 수년 간 기존 레짐에서 어떤 획기적 변화(epochal shift)를 겪었는지 판단함에 있어 연준은 매우 신중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역시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해 과도한 가격을 책정하고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이)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를 일종의 확신으로 삼고 있는 것은 정말 실수일 수 있다"며 "연준이 연내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확률은 15%에서 좀 더 높아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2월 고용지표와 관련해선 "계속해서 강한 경제를 반영하고 있다"며 "여전히 일자리 증가세는 기저의 인구 증가 속도보다 몹시 빠르다"고 했다.
서머스는 또 "미국의 중립금리는 연준이 말하는 2.5%보다 높은 4%대에 가깝다"고 했다. 지난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의회에서 `우리는 중립금리에서 한참 멀어져(한참 높아져) 있다. 제약적 영역에 들어있다`고 말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 높아진 중립금리 때문에 실제 긴축의 강도는 크지 않다는 게 서머스의 판단이다.
엔비디아, 비트코인, 나스닥100지수, S&P500지수의 최근 12개월 상승률 [사진=koyfin] |
미즈호증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브 리치우토도 거들었다. 3월1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리치우토 이코노미스트는 전일(3얼12일) 공개된 미국의 CPI지표에 대해 "근원 인플레이션의 3개월 및 6개월 추세는 하락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며 "시장은 연준의 금리인하를 원할지 모르나, 현실을 직시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가 보여주는 것(실상)을 의심하는 것은 실상을 훼손하고, 일어나지 않는 일을 기대하게 만든다"고 했다. 시장이 물가지표가 보내는 신호를 외면한 채 금리인하 기대만 붙들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계속 미뤄질 만큼 경제가 탄탄하다면 위험자산에는 나쁠 게 없다. 더구나 시기와 속도의 문제일 뿐 어차피 큰 방향은 정해졌다는 믿음 - 인플레이션의 둔화로 연준의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믿음 - 또한 여전히 강하다.
양호한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시장의 착각에 의해서든 합리적 판단에 의해서든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계속 살아 꿈틀대는 동안 위험자산은 힘을 받을 수 있다. 시장은 나의 믿음보다 남들이 어떻게 믿는가가 중요한 곳이다.
리치우토는 실제 연준이 시장을 향해 그런 류의 격려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금리를 내려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하려 한다. 연준의 그 분명한 열망(Fed's obvious desire)에 기대어 증시는 랠리를 연출하고 있다. 연준은 `사과 수레를 엎지 않을 것이고 경제가 계속 굴러가도록, 계속 나아가도록 할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것은 주식에 좋다. 주식시장이 할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은 딱히 놀랄 일이 아니다."(리치우토, 블룸버그 TV와 인터뷰)
그 격려의 끝이 설사 (인플레이션 재가속과 연준의 황망한 긴축재개 혹은 스태그플레이션 심화가 불러올) 참담한 버블 붕괴라 해도 작금의 시장을 탓할 일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