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증권·금융 핀테크

카카오페이, 2분기 영업손실 126억원…결제 수수료 증가 영향

기사입력 : 2023년08월01일 15:54

최종수정 : 2023년08월01일 15:54

거래액·가입자·결제 매출액↑…영업비용도 10%↑
"결제 서비스 매출 늘며 지급 수수료도 증가"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카카오페이는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125억81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88억60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 증가했다. 순손실은 62억700만원으로 적자가 이어졌다.

지난 2분기 거래액은 34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8% 늘었다. 매출 기여 거래액은 9조9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0% 가까이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결제(18%)와 금융(23%), 송금 등 기타서비스(17%)에서 거래액이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2분기 누적 가입자는 4000만명을 넘었다. 지난 2분기말 월간 사용자는 2425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1%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2분기 결제 부문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전체 결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5.3% 늘었다. 금융 서비스 부분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 늘었다.

거래액과 가입자, 결제 매출액 증가에도 영업손실 및 손손실을 낸 배경에는 영업비용 증가가 있다. 지난 2분기 영업비용은 161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1%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결제 서비스 매출 확대로 인한 지급수수료로 증가가 영업손실 및 순손실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사진=카카오페이] 2023.08.01 ace@newspim.com

지난 상반기 영업손실은 255억9300만원이다. 지난 상반기 매출액은 2903억24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8% 늘었다. 상반기 순손실은 86억1300만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카카오페이는 하반기에는 카카오페이증권과 카카오페이손해보험 등 자회사 성과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7월말 기준 카카오페이증권 예탁 자산은 2조원까지 늘었다. 지난 2분기말 카카오페이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유저 활동성은 지난해말과 비교해 2.4배 늘었다. 같은 기간 주식 거래액은 2.7배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해외여행보험은 지난 7월3주차 일평균 약 1800명이 가입하는 등 고객 호응을 얻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성과를 보이는 금융 자회사와 연계를 통해 카카오페이는 전 국민 생활 금융 플랫폼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간다는 전략"이라며 "카카오페이 여러 서비스 간 연계성을 강화하며 결제와 대출에 이은 단단한 매출 기여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ac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