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고영화의 중국반도체] <12> 中 EDA 도구 국산화 뒤늦게 전력질주 <上>

기사입력 : 2023년04월17일 17:50

최종수정 : 2023년04월18일 18:30

화웨이 런정페이 회장 '외국서 EDA 안주니 바보 됐다'
中 3대 EDA 화다주텐, 가이룬전자, 광리마이크 상장

3월 24일 중국 화웨이(HUAWEI)가 14nm 이상 반도체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도구를 자체 개발했다고 자랑스럽게 발표했다.

중국 매체들은 당시 화웨이 CEO 런정페이(任正非)가 "화웨이는 창업 이후 친서방적이었고, 당시 우리는 세계 최고의 부품과 도구로 세계 최고의 제품을 만들자는 슬로건을 내걸었고, 이것을 이루어 냈다. 그러다 갑자기 제재를 받게 되고, 다른 사람이 부품과 도구를 안 주니까... 우리는 바보가 됐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반도체 설계 단계에서는 EDA 도구가 '장비'이고, IP(설계자산)가 '소재'인데, 미국 정부의 제재로 2019년부터 화웨이에 EDA 도구를 공급하지 않으니 화웨이가 '바보'가 됐다는 말이다. 실제로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 자회사 하이실리콘(HiSilicon)은 반도체 5G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설계하지 못하게 됐고, 자체 5G AP를 휴대폰에 활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화웨이는 중저가 휴대폰 부문을 매각했다.

이에 비춰 볼 때 중국이 반도체 굴기에 성공하려면, 반도체 산업의 출발선인 설계 단계에 수요되는 EDA 도구 국산화를 성공시켜야 하는 숙제를 풀어야 한다. 그렇다면 중국의 EDA 도구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이고, 언제나 EDA 도구 국산화가 가능할까?

◆ 미국 3사, 전세계 EDA 도구 시장 75% 독점

EDA는 설계도면 제작에 쓰이는 컴퓨터지원설계(CAD)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하여 논리적 설계, 통합, 검증, 물리적 설계를 완료하고, 웨이퍼 패턴을 완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이다. 과거 전자회로 및 PCB 제작에서부터 발전해서, 초고밀도 집적회로(VLIS) 반도체 설계에 까지 사용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1000억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에 집적하는 상황이기에 EDA가 없으면 반도체 설계가 아예 불가능하다.

트랜드포스(TrendForce)의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세계 반도체 EDA 시장점유율은 미국 시놉시스(Synopsys) 32%, 케이던스(Cadence) 30%, 독일 지멘스(Siemens) 13%이다. 하지만 지멘스 EDA도 2016년 미국 멘토(Mentor)사를 인수 합병한 것이고, 아직도 본사가 미국 오레곤 주에 있으므로, 미국 3사가 세계 시장 75%를 독점하고 있고 할 수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2021년 세계 반도체 EDA 점유율 (단위: %) (출처: 트랜드포스(TrendForce), 2022.8).  2023.04.17 chk@newspim.com

 

 ◆ 중국 1986년부터 이미 EDA 국산화 시도

중국의 EDA 국산화 역사는 1986년부터 시작되었고, 크게 3개 정도의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1986~1994 초기단계. 파리위원회(대공산권수출조정위원회, COCOM, 1949년 설립)의 규정에 따라 전략물자로 분류된 해외 EDA 도구는 중국 수출이 금지 되었기 때문에, 중국은 1986년 베이징IC설계센터(北京集成电路设计中心) 주도로 EDA 공동개발을 추진했고, 1988년 최초의 국산 EDA '판다'(熊猫系统, Panda)를 출시하게 되었다.

1994~2008년 침체기. 1994년 해외 EDA 제품의 대중수출 금지조치가 해제되면서, 미국 케이던스 등 해외 주요 EDA 제품이 중국 대륙 시장에 유입되면서 동시에 중국 자체 개발 수요가 사라져갔다.

2008년~현재 새로운 성장 국면. 중국의 과학기술발전 기본계획인 '국가 중장기 과학 및 기술 개발 계획 요강(2006~2020년)'이 발표되고, 2008년에는 본 계획 산하 16개 국책과제 중에 EDA가 소과제로 포함되면서, 중국 자체 EDA 관련 스타트업 설립이 붐을 이루었다.

현재 중국에는 화다주텐(Empryrean), 가이룬전자(Primarius), 광리마이크로(Semitronix) 등 3개 상장사를 비롯하여, 현재 약 50개의 EDA 기업이 있다.

하지만 2020년 중국 시장점유율을 보면 케이던스 32%, 시놉시스 29%, 지멘스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기업으로는 화다주텐이 겨우 5%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2018-2020년 중국 EDA 툴 시장 경쟁 구도 (출처: 텐펑증권(天风证券), 2021.7). 2023.04.17 chk@newspim.com

 

◆ 중국 최대 EDA 도구 스타트업 '화다주텐'(Empyrean)

화다주텐(华大九天, Empyrean, 301269.SZ)은 2009년 베이징시 왕징(望京, 베이징 한인 밀집지구) 북부에 위치한 '귀국유학생창업센터'(中国北京(望京)留学人员创业园)에 설립되었고, 중국전자(中国电子, CEC, 국유기업)의 자회사이며, 국가반도체기금1기 및 국가 중소기업발전기금 등이 투자했다. EDA 회사로는 두번째로 2022년 7월 선전 창업판에 상장되었다.

창업자 류웨이핑(刘伟平)은 푸단대학 반도체학과 학사 및 칭화대 컴퓨터공학과 박사로서 국산 '판다' EDA를 주도한 베이징IC설계센터 부사장 출신이며, CEO 양샤오동(杨晓东)은 칭화대 학사 졸업 및 캘리포니아주립대 박사 이후 시놉시스에 근무한 엔지니어 출신이고, 판다 EDA 개발팀 출신 개발자도 다수 합류해서 회사의 주축이 되었다.

화다주텐 EDA는 사용자에게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및 검증까지 반도체 설계 전 과정을 지원하는 완전한 구조를 갖춘 유일한 중국 EDA 도구로서, 아날로그 반도체 설계, 디지털 SoC 설계, 평판 디스플레이(FPD)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제조) 솔루션 등 4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반도체 설계 EDA 구조를 예를 들어 보면, 논리적인 회로도(Schematic) → SPICE(회로) 시뮬레이션 → 레이아웃 편집 → 물리적 검증 → RC 추출 → 물리적 설계 검증(SPICE 시뮬레이션, 신뢰도 분석 등)의 순서로 반도체 설계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화다주텐 아날로그 반도체 설계 EDA 개념도 (출처: 화다쥬텐(Empyrean) 홈페이지, 2023.3).   2023.04.17 chk@newspim.com

 

◆ 중국 최초의 상장 EDA 기업 '가이룬전자'

가이룬전자(概伦电子, Primarius, 688206.SH)는 2010년 3월 상하이에 설립된 이후, 인텔(Intel) 중국 청두 자회사 4.87%(7대주주) 등의 투자를 받았으며, 2021년 12월 EDA 기업 최초로 상해거래소에 상장 되었다.

창업자 류즈홍(刘志宏)은 2003~2010년 미국 케이던스의 글로벌부사장을 역임했고, 사장 양롄펑(杨廉峰), 부사장 쉬이(徐懿), 연구개발 부사장 마위타오(马玉涛) 및 팡귄(方君) 역시 2006년을 전후로 케이던스의 고급상품엔지니어, 영업부사장, 고급엔지니어 및 SW 엔지니어로 각각 근무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에는 창업팀원들의 경력을 살려 시놉시스 및 케이던스와 입력방식이 100% 호환되는 SPICE(회로) 시뮬레이션 제품 등을 개발해서 EDA 시장에서 일정한 지위를 개척했다.

최근에는 2019년 중국 '보다마이크로'(PDA)를 인수하고, 2021년 한국 EDA 기업 '엔타시스'(Entasys)'를 800만 달러에 인수 함으로서, SoC 반도체의 논리적 설계와 물리적 설계를 지원하는 통합 EDA '나비스프로(NavisPro)'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는데, 특히 한국 엔타시스 홈페이지의 '트라스타'(TRASTA)가 나비스프로의 원형이라는 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가이룬전자(Primarius) 디지털 SoC 설계 통합 EDA 'NavisPro' 개념도 (출처: 가이룬전자(Primarius) 홈페이지, 2023.3).  2023.04.17 chk@newspim.com

 

 <필자 약력>

 

 

 

베이징대학 한반도연구소 연구원
한국창업원(베이징) 원장
SV 인베스트먼트 고문
전 산업은행 베이징지점 고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 학사/석사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