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스마트 유해물질 안전관리 혁신' 추진
발암 등 유해물질 52종 통합 위해성평가 실시
유해물질 '예측·차단 평가' 디지털 전환도 가속
[세종=뉴스핌] 이경화 기자 = 유해물질의 인체 위해평가가 제품이 아닌 '사람' 중심의 통합 위해성 평가로 전환되면서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이 한층 해소될 전망이다.
또 인공지능(AI) 기반의 잠재 유해물질 사전 예측·차단 시스템을 평가체계에 도입하는 등 디지털 전환도 가속화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6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스마트 유해물질 안전관리 혁신 방안'을 향후 5년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해물질의 위해성은 그간 식품·화장품 등 인체적용제품별로 평가됐지만 사람에게 미치는 유해물질의 노출 총량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식약처는 다양한 제품으로부터 기인한 총 노출량을 사용자 중심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4.06 kh99@newspim.com |
우선 올해부터 2027년까지 발암·생식능력 손상·유전독성 등 위해 우려가 높은 유해물질 52종에 대해 얼마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지 통합 위해성 평가를 본격 실시한다.
식약처는 통합 위해성 평가로 유해물질의 위해성이 확인되면 정부에서 기준·규격과 대체물질·저감기술 개발 등 노출원 관리를 강화하고, 업계의 경우 제조공정 개선과 대체물질 사용으로 유해물질 저감화에 힘쓰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국민의 식생활 개선 등 일상생활에서 유해물질 노출량 줄이기 실천까지 더해지면 보다 안전한 생활이 가능해질 거라고 내다봤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4.06 kh99@newspim.com |
2024년부터는 AI 기술 활용 스마트 유해물질 평가체계로 전환한다. 유해물질을 입력하면 AI 기반 시스템이 한국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위해평가 모델을 자동 설계해 유해물질 노출량을 계산하고 위해성 평가결과를 도출하는 식이다. 또 영유아·만성질환자 등 인구집단별로 노출되는 유해물질 양을 확인하기 위해 섭취량·생활습관 등 실생활 데이터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
2025년부터는 잠재적 위해요소를 실시간 수집·분석하는 AI 기반 위해정보 수집·분석·감시시스템(K-RISS)을 구축할 방침이다. K-RISS(Korea Risk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는 언론·SNS·민원정보·소비자 피해신고 등을 종합 수집·분석한다. 제품 섭취량·사용빈도 등을 앱에 입력하면 유해물질 노출량 등을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안전알람 서비스'도 선보인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4.06 kh99@newspim.com |
한국형 스마트 위해성 평가 모델의 글로벌 스탠다드화도 추진한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으로 구성된 국제 규제기관 컨소시엄(APCRA)에 참여해 차세대 위해성 평가기술 개발에 적극 협력하는 한편으로 학계나 산업계에서 위해성 평가 자료를 활용해 유해물질 노출 저감·평가기술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 포털(Open-API)에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온라인 구매, 해외직구 등 소비 환경변화와 신기술 개발에 따른 새로운 유해물질을 사전에 예측하고 차단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해물질 안전관리에 대한 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위해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단체와 정부의 정책 소통채널을 활성화하고 소비자가 주도하는 식의약 안전관리를 위한 자율감시 활동도 지원 하겠다"고 덧붙였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