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지I&C·한세엠케이 실적 부진...형지엘리트·세정은 흑자 전환
리오프닝 기대감에 '기지개'...체질 개선작업에 안간힘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토종 패션가들이 2세 경영에 힘을 싣고 있다. 노후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았던 이들 기업들은 핵심 계열사 수장 자리에 2세 경영인들을 전진 배치하며 경영정상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업계는 무엇보다 2세 경영인들의 경영능력이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왼쪽부터) 최준호 형지엘리트·까스텔바작 사장 , 최혜원 형지I&C 대표이사, 김지원 한세엠케이 및 한세드림 대표이사, 박이라 세정 사장. [사진=각 사] 2022.05.10 shj1004@newspim.com |
◆ 형지·한세엠케이·세정, 지난해 실적 부진 이어져
10일 업계에 따르면 패션업계 오너 2세가 이끄는 패션그룹형지 형지I&C, 까스텔바작과 한세엠케이, 세정의 실적은 여전히 부진항 상황이다.
패션그룹형지 창업주인 최병오 회장의 장녀인 최혜원 대표가 이끌고 있는 형지I&C는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고 손실 규모는 더 확대됐다. 같은 기간 매출 656억원과 영업손실 40억원으로 집계됐다.
장남인 최준호 사장이 이끄는 형지의 또다른 패션 계열사인 까스텔바작의 연결기준 매출은 74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개선됐다. 다만영업손실은 43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다만 형지엘리트의 지난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50억원으로 전년 반기 대비 6.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4억5000만원으로 흑자전환했다.
형지엘리트는 올해 3월 열린 제21기 임시주주총회에서 최준호 사장을 신규 사내이사로 선임했다. 앞서 형지그룹은 올해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최준호 까스텔바작 대표이사가 형지엘리트 사장을 겸직하도록 했다.
김지원 대표가 이끄는 한세엠케이의 실적도 부진한 상황이다. 김 대표는 1981년생으로 김동녕 한세예스24그룹 회장의 2남 1녀 중 막내딸로 한세엠케이 대표이사와 한세예스24홀딩스 회장과 각자대표 체제로 겸임하고 있다.
세정그룹 박순호 회장의 막내 박이라 대표가 이끄는 세정은 적자에서 벗어났다. 올리비아로렌, 인디안 등 사업을 영위하는 세정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693억원, 영업이익 2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은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세정은 지난 2019년 취임한 박이라 세정과미래 사장이 이끌고 있다. 창업주인 박순호 회장의 셋째 딸인 그는 세정 사장, 세정과미래 대표이사, 세정씨씨알(CCR) 대표이사를 겸직하고 있다.
◆ 리오프닝 기대감 이어지나...체질 개선작업에 사활
이러한 부진에 패션업계 오너 2세들은 체질 개선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 신사업 육성을 통한 사업 다각화와 해외 시장 확대로 수익성 증대에 나서고 있다.
형지엘리트는 최준호 사장이 보유한 다방면의 사업 경험과 해외시장 개척 성과를 통해 스포츠상품화 사업 등의 신사업을 강화하고, 중국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프로야구단 'SSG랜더스'의 공식 상품화사업권자로서 유니폼, 잡화 등 다양한 굿즈를 제작해 유통하는 등 스포츠상품화 사업에 접목시켜 해당 사업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세엠케이는 중국법인(상해상무유한공사)과 NBA CHINA와의 중국·홍콩·마카오 지역의 NBA라이선스 계약을 2013년도 체결해 중국지역 매장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현재 NBA 164개, NBA KIDS 75개 매장을 오픈 운영하고 있으며, NBA KIDS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형지I&C는 온라인 외 오프라인 매장인 프리미엄 아울렛으로도 판매 통로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말까지 국내 프리미엄 아울렛인 '롯데', '현대', '신세계첼시' 6개 점에 추가 입점을 추진해 판매채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세정그룹은 최근 대표 패션 편집숍 '웰메이드'에서 신규 라인 '인디안 골프' 선보이며 새로운 골프웨어을 선보이기도 했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제한이 전면 해제되면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도 돌고 있다. 따뜻해진 날씨와 리오프닝에 따른 외부 활동 증가로 관련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다.
패션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타격을 받은 업종 중 하나다. 2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는데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경기침체, 소비심리 위축, 재택근무, 외부행사 축소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바 있다.
삼성물산패션연구소의 '2022년 패션 시장 전망 및 2021년 패션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패션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4% 성장한 약 37조 원 규모로 예상된다. 다만 2020년 시장이 11.1% 역신장한 점을 감안하면 아직 2019년 수준을 하회하는 수치로 추정된다.
업계는 무엇보다 차별화된 브랜드력과 디자인을 내세워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업계 관계자는 "패션업계는 최근 무한 경쟁시대에 접어들었으며, 자본력으로 무장한 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라며 "신규브랜드의 진입 등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경쟁요소와 디자인과 브랜드 파워를 키울 수 있는 자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shj10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