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안목 갖고 공급망 다변화 해 나가야"
"치열한 경쟁속에 전략적 협력 강화해야"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본격화된 미·중 갈등에 대비해 첨단기술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장기적 관점에서의 공급망 다변화 및 한·미, 한·중, 신남방·신북방 국가들과의 전략적 협력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홍 부총리는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9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3가지 측면에서의 미·중 갈등 대응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홍 부총리는 "첨단기술 혁신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자강력(自强力)을 강화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제9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영상축사를 하고 있다. 2021.04.13 204mkh@newspim.com |
그는 "현재 미국은 5G, 반도체 등 첨단기술이 경제·안보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인식하고 가장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이에 일본, 유럽 등 여타국들도 이에 가세하고 있다"고 위기의식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 강점인 반도체·ICT 등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면서 D.N.A 등 유망분야 전반에 혁신의 활기를 불어 넣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뉴딜 본격 추진, BIG3 주력산업화, 첨단기술 혁신 등을 통해 혁신성장의 동력을 더 다져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홍 부총리는 "보다 긴 안목을 가지고 공급망을 다변화(多邊化)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위기를 겪으며 글로벌 밸류체인(GVC)이 약화되고 특히 최근 미국이 반도체·배터리 등의 공급망 행정명령을 발동하는 등 각국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미중간 디커플링 심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홍 부총리는 "이제 본격적으로 공급망 해법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면서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연내 RCEP 발효, CPTPP 가입 검토 등 메가 FTA 추진을 통해 아태지역의 새로운 경제질서 및 공급망 형성 기회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홍 부총리는 "치열한 경쟁속에 전략적 협력(協力)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 한-중 양자협력의 고도화와 함께 신남방·신북방협력 등 경협국가에 대한 맞춤형 전략 마련을 통해 양자간 경제협력 기반도 보다 넓고 깊게 다져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홍 부총리는 "미·중 갈등속에서도 양국이 기후분야에서 협력의 접점을 모색하는 것은 신냉전 긴장관계를 해빙(解氷)시키는 작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정부도 기후분야에서는 다음 달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2차 P4G 정상회의 등을 통해 우리의 리더십을 더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래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축사 전문.
안녕하십니까.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홍남기입니다.
'제9회 뉴스핌 서울이코노믹포럼'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오늘 행사를 기획해 주신 민병복 뉴스핌 대표이사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박병석 국회의장님을 비롯한 내외 귀빈 여러분과 포럼 참석자분 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포럼주제가 "미중 신냉전시대, 한국경제 나아갈 길"입니다. 최근 미중 세계 G2강국의 갈등이 커지는 가운데, 이 두 나라가 우리의 수출 1,2위 국가로 한국경제와의 밀착도를 감안할 때 이러한 주제는 매우 중요하고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상호 관세부과로 시작되고 본격화된 미·중갈등은 이제 무역뿐 아니라 외교·안보, 첨단기술 등으로 확대되는 양상입니다. 지난달 열린 '미중 고위급 외교회담'에서 드러났듯이 새로 출범한 바이든 정부는 對中 압박의 강도를 늦추지 않고 있고, 중국 역시 영토·첨단기술 등 핵심이익에 있어서는 강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미·중은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우리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는 만큼 이들의 경쟁은 우리 경제에 상당한 파급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의 전략적 대응과 대비가 절실한 이유입니다. 이에 오늘 저는 우리의 그 대응방향으로 다음 3가지 측면을 강조하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첫째, 첨단기술 혁신 등을 통해 우리 경제의 자강력(自强力)을 강화해야 합니다.
현재 미중은 5G, 반도체 등 첨단기술이 경제·안보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인식하고 가장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이에 일본, 유럽 등 여타국들도 이에 가세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우리 강점인 반도체·ICT 등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면서 D.N.A 등 유망분야 전반에 혁신의 활기를 불어 넣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뉴딜 본격 추진, BIG3 주력산업화, 첨단기술
혁신 등을 통해 혁신성장의 동력을 더 다져 나갈 것입니다.
둘째, 보다 긴 안목을 가지고 공급망을 다변화(多邊化)해 나가야 합니다.
코로나위기를 겪으며 글로벌 밸류체인(GVC)이 약화되고 특히 최근 미국이 반도체·배터리 등의 공급망 행정명령을 발동하는 등 각국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미중간 디커플링 심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공급망 해법을 강구해 나가야 합니다. 정부는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연내 RCEP 발효, CPTPP 가입 검토 등 메가 FTA 추진을 통해 아태지역의 새로운 경제질서 및 공급망 형성 기회도 적극 활용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셋째 치열한 경쟁속에 전략적 협력(協力)을 강화해야 합니다.
한-미, 한-중 양자협력의 고도화와 함께 신남방·신북방협력 등 경협국가에 대한 맞춤형 전략 마련을 통해 양자간 경제협력 기반도 보다 넓고 깊게 다져 나가야 할 것입니다.
특히 미·중 갈등속에서도 양국이 기후분야에서는 협력의 접점을 모색하는 것은 신냉전 긴장관계를 해빙(解氷)시키는 작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정부도 기후분야에서는 다음 달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2차 P4G 정상회의 등을 통해 우리의 리더십을 더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미중 경쟁과 갈등 이슈는 외교안보, 경제, 첨단기술 등 모든 분야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사안입니다.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민관 협력, 정부내 유관부처 협업 등 모두가 힘을 합쳐 집단지성을 발휘하고 협업 돌파력을 강력하게 작동시킬 때 미중경쟁의 험난한 파고도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포럼에서 의미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하며, 정부도 경청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