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위드 코로나 1년] 1년 미뤄진 도쿄올림픽, 올해 개최 전망도 '불투명'

기사입력 : 2021년01월18일 06:00

최종수정 : 2021년01월18일 08:23

일본 내 확산세 더욱 가팔라져...누적 확진 30만명 돌파
日국민도 맘 접었다...80%가 "올림픽 중단 또는 재연기해야"
"도쿄올림픽 개최, 전적으로 코로나 상황에 달렸다"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지난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7월 열릴 예정이었던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이 2021년 7월로 1년 연기됐다. 124년 올림픽 역사상 감염병으로 인해 대회가 연기된 것은 처음이다.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올해 7월에는 반드시 올림픽을 개최한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될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는 데다, 일본 내 감염 상황도 더욱 악화되면서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2021년, 도쿄올림픽은 열릴 수 있을까?

일본 도쿄 올림픽 박물관에서 마스크를 쓴채 걷고 있는 시민. [사진= 로이터 뉴스핌]

일본 내 확산세 더욱 가팔라져...누적 확진 30만명 돌파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지난 12일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전 회장과의 전화 회담에서 올 여름 도쿄올림픽 개최에 대한 결의를 밝혔다. 이에 대해 게이츠 전 회장은 도쿄올림픽 개최에 대한 기대로 화답했다.

하지만 일본 내 코로나19 현실은 올림픽 개최에 대한 기대를 배반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지난 13일 코로나19 발생 1년 만에 누적 확진자 수 30만명을 돌파했다.

일본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해 1월 15일이다. 그 후 9개월 반이 지난 10월 29일 누적 확진 10만명을 넘어섰다.

그 후 3차 유행이 시작되면서 도쿄(東京)도 등 수도권과 오사카(大阪)부, 홋카이도(北海道) 등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감염자가 급증, 두 달이 채 안 되는 52일 만에 10만명이 늘어나면서 12월 20일 누적 20만명을 넘어섰다.

연말에 접어들면서 감염 증가세는 더욱 가팔라지기 시작했으며 20만명을 넘어선지 불과 3주 만에 30만명을 돌파했다.

특히 2021년 들어서면서 도쿄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신규 확진자가 코로나 발생 후 처음으로 7000명을 넘었으며, 8일에는 역대 최다인 7882명이 확인됐다. 도쿄에서는 5일 이후 7일 연속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00명을 넘었다.

이에 일본 정부는 8일 도쿄도와 가나가와(神奈川)현, 사이타마(埼玉)현, 지바(千葉)현 등 수도권 4개 지역에 내달 7일까지 긴급사태를 선언했다.

13일에는 오사카(大阪)부, 교토(京都)부, 효고(兵庫)현 등 관서(關西)의 주요 3개 지역과 아이치(愛知)현, 기후(岐阜)현, 후쿠오카(福岡)현, 도치기(栃木)현 등으로 긴급사태 선언을 확대했다.

도쿄에 긴급사태 선언이 발령된 건 이번으로 두 번째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7일 도쿄 등 수도권 지역과 오사카, 효고, 후쿠오카 등에 긴급사태를 발령한 뒤 이후 전국으로 확대했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도쿄 시내 한 전철 역 앞을 가득 메운 인파. 2020.07.03 goldendog@newspim.com

日국민도 맘 접었다...80%가 "올림픽 중단 또는 재연기해야"

코로나19 사태가 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일본 내에서도 도쿄올림픽 무산론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교도통신이 9~10일 실시한 전국 여론조사에서 올해 도쿄올림픽을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35.3%, "재연기해야 한다"가 44.8%를 차지했다. 일본 국민의 80.1%가 올림픽을 중단하거나 재연기해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일본에서 도쿄올림픽 중단 또는 재연기 여론이 8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21일 아사히신문의 조사에서는 중단(32%)과 재연기(33%)를 합쳐 65%였다.

NHK가 1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일본 국민의 16%만이 도쿄올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달 조사 때보다 1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24일 도쿄 국립경기장 앞에서 도쿄올림픽 '중지'를 외치는 시위대. 2020.07.27 goldendog@newspim.com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내에서도 위기론은 스멀스멀 고개를 들고 있다. 일본 정부가 도쿄 등 수도권에 긴급사태 선언을 재발령한 7일 조직위 내에서는 "긴급사태 선언이 3월까지 해제되지 않으면 대회 개최 자체가 어려워질 것"이란 목소리가 나왔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조직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일본의 감염 확산세를 세계가 어떻게 받아들이지 걱정스럽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하루하루를 살아가는데 힘들어하는 사람들이나 의료 종사자들을 생각하면 올림픽 개최가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직위는 현재 선수와 대회 관계자용 코로나 대책 가이드라인을 작성 중이며 1월 중에라도 각국 올림픽위원회 등과 온라인 면담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본 내 코로나 확산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대회 개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 정치권 내에서도 올림픽 취소 가능성이 언급됐다. 고노 다로(河野太郎) 행정·규제개혁 담당상은 14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올림픽은 (개최와 취소) 어느 쪽으로든 갈 수 있다"며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분명 플랜B나 플랜C를 생각하고 있을 것이지만 상황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정례 브리핑에서도 도쿄올림픽에 대해 "무슨 일이 있을지 알 수 없다"는 견해를 나타냈다고 15일 AFP통신이 전했다. 일본 각료의 입에서 올림픽 취소 발언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집권 자민당의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간사장은 지난 5일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올림픽을 개최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들어보고 싶을 정도"라고 발언한 바 있다. 

2020도쿄올림픽 엠블렘 뒤로 돌아서는 아베 총리와 IOC 바흐 위원장. [사진= 로이터 뉴스핌]

"도쿄올림픽 개최, 전적으로 코로나 상황에 달렸다"

스가 총리는 지난해 11월 일본을 방문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만나 도쿄올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한다는 것을 거듭 확인했다.

스가 총리는 "내년 여름 인류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이겨낸 증거로서 또 (일본이) 동일본 대지진에서 다시 일어서고 있는 모습을 세계에 알리는 부흥 올림픽으로서 개최를 실현할 결의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바흐 위원장도 "도쿄올림픽을 내년 실행한다는 결의를 충분히 공유했다. 코로나 이후 세계에서 인류의 연대와 결속력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결의와 관계없이 올 여름 도쿄올림픽 개최 여부는 전적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IOC의 최장수 위원이자 지난해 도쿄올림픽 연기를 처음 발언했던 딕 파운드 위원은 지난 7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도쿄올림픽 개최 여부를 확언할 수 없다"고 말했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16일 일본을 방문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 위원장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와 만나 주먹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0.11.16 goldendog@newspim.com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민주 47.4%·국민의힘 34.3%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율은 오르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하락해 양당의 격차는 13.1%포인트(p)로 벌어졌다. 한때 국민의힘 지지율이 높았던 18~29세는 윤 전 대통령 파면 후 민주당 지지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0일 발표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7.4%로 직전 조사 대비 0.1%p 상승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4.3%로 직전 조사 대비 0.5%p 하락했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4.10 ace@newspim.com 조국혁신당은 3.9%에서 4.0%로 0.1%p 상승했다. 개혁신당은 2.0%에서 1.9%로 0.1%p 하락했다. 진보당은 1.2%에서 0.8%로 0.4%p 떨어졌다. 기타 다른 정당은 1.5%에서 3.5%로 2.0%p 올랐다. 지지 정당 없음은 8.7%에서 7.2%로 1.5%p 줄었다. '잘모름'은 0.7%에서 1.0%로 0.3%p 올랐다. 연령 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만 18~29세는 민주당 55.8%, 국민의힘 24.2%, 개혁신당 6.5%, 진보당 1.5%, 기타 다른 정당 2.9%, 지지 정당 없음 9.0% 등이다. 30대는 민주당 39.3%, 국민의힘 34.7%, 조국혁신당 4.9%, 개혁신당 3.0%,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9.3%, 지지 정당 없음 7.4% 등이다. 40대는 민주당 60%, 국민의힘 27.4%, 조국혁신당 2.7%, 개혁신당 1.0%,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1.2%, 지지 정당 없음 6.5%, 잘모름 0.6%다. 50대는 민주당 51.1%, 국민의힘 29.4%, 조국혁신당 7.3%, 개혁신당 0.5%,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8.1%, 잘모름 1.4%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42.3%, 민주당 39.8%, 조국혁신당 7.5%, 개혁신당 0.6%,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4.3%, 잘모름 2.2%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49.2%, 민주당 36.3%, 개혁신당 0.6%, 기타 다른 정당 4.8%, 지지 정당 없음 7.9%, 잘모름 1.3% 등이다. 지역 별로는 보수 지지자가 많은 영남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민주당 46.4%, 국민의힘 34.6%,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2.7%, 진보당 1.6%,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9%, 잘모름 1.0%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당 48.3%,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4.0%, 지지 정당 없음 7.6%, 잘모름 0.9%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2.0%, 국민의힘 27.0%, 개혁신당 2.5%, 조국혁신당 1.6%, 기타 다른 정당 4.7%, 지지 정당 없음 12.2%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61.6%, 국민의힘 27.7%, 조국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7.5%,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1.9%, 진보당 0.6%,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7.8%, 잘모름 1.3%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44.8%, 민주당 36%, 개혁신당 3.1%, 조국혁신당 2.9%, 기타 다른 정당 3.0%, 지지 정당 없음 7.2%, 잘모름 3.0%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2.1%, 국민의힘 23.2%, 조국혁신당 8.4%, 개혁신당 1.2%, 기타 다른 정당 2.2%, 지지 정당 없음 2.9%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6%, 국민의힘 37.1%, 조국혁신당 3.9%, 개혁신당 3.2%,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1.7%, 지지 정당 없음 6.6%, 잘모름 0.6%다. 여성은 민주당 48.9%, 국민의힘 31.5%,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0.7%,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5.2%, 지지 정당 없음 7.7%, 잘모름 1.3%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한계허용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한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정권 교체를 원하는 국민들의 여론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정치적 변화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지난 대선 때 '이대남(20대 남성)'과 '이대녀(20대 여성)' 논란이 있었다"며 "이대남들은 국민의힘 지지, 이대녀들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추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4-10 10:00
사진
이재명 47.6% '1강 독주'...2위 김문수 17.9%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후보 1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10일 발표됐다. 이 전 대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 전 대표에 이어 안정적인 2위를 차지한 양상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 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8~9일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 시스템(ARS)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호명순서는 가나다순)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이재명 47.6% ▲김문수 17.9% ▲한동훈 4.9% ▲홍준표 4.3% ▲오세훈 3.7% ▲김경수=안철수 2.1% ▲김동연 1.9% ▲유승민 1.8% ▲이준석 1.7% ▲원희룡 1.1% ▲우원식 0.8% ▲김두관=김부겸 0.7%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다른 인물 4.3% ▲없음 2.6% ▲잘 모름은 1.8%였다. 성별로는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남성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보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선호한 반면 여성은 홍 시장보다 한 전 대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여성에서 가장 낮은 지지도를 얻었다. 남성은 ▲이재명 46.7% ▲김문수 19.7% ▲홍준표 5.2% ▲한동훈 4.3% ▲오세훈 3.5% ▲이준석 3.0% ▲유승민 2.5% ▲김동연 2.2% ▲김경수 1.9% ▲안철수 1.8% ▲원희룡 1.6% ▲김두관=김부겸 0.8% ▲우원식 0.4% 순이었다. 여성은 ▲이재명 48.4% ▲김문수 16.2% ▲한동훈 5.4% ▲오세훈 3.9% ▲홍준표 3.3% ▲안철수 2.5% ▲김경수 2.3% ▲김동연 1.8% ▲우원식 1.3% ▲유승민 1.2% ▲원희룡 0.6% ▲김두관=김부겸 0.5% ▲이준석 0.4% 순이다. 이 전 대표를 가장 선호하는 연령층은 40~50대였다. 반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연령대는 70대 이상과 30대였다. 김 전 장관은 60대, 70대 이상에서 20% 넘는 지지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만18세~29세)는 ▲이재명 51.8% ▲김문수 13.1% ▲이준석 5.4% ▲김동연 5.1% ▲홍준표 3.3% ▲오세훈 2.9% ▲유승민 2.7% ▲안철수=한동훈 2.0% ▲김부겸 0.8% ▲김경수 0.7% 로 집계됐다 30대는 ▲이재명 40.7% ▲김문수 15.2% ▲한동훈 7.4% ▲홍준표 6.0% ▲김경수 4.0% ▲유승민 3.2% ▲안철수 3.1% ▲오세훈 2.6% ▲이준석 1.8% ▲원희룡 1.3% ▲김부겸 1.2% ▲김두관 0.5%로 나타났다 40대는 ▲이재명 58.8% ▲김문수 17.3% ▲홍준표 4.1% ▲우원식 2.8% ▲한동훈=안철수 2.3% ▲이준석 1.5% ▲오세훈 1.1% ▲김경수 1.0% ▲김동연=김부겸 0.6% ▲유승민 0.5%로 조사됐다. 50대는 ▲이재명 56.1% ▲김문수 13.3% ▲오세훈=홍준표 4.5% ▲안철수 3.5% ▲한동훈 2.9% ▲유승민 2.2% ▲김동연 1.8% ▲원희룡 1.4% ▲이준석 1.0% ▲김경수 0.9% ▲우원식 0.8% 였다. 60대는 ▲이재명 42.0% ▲김문수 22.5% ▲한동훈 7.6% ▲오세훈=홍준표 5.0% ▲김경수 3.2% ▲유승민 2.2% ▲김동연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1.1%로 나타났다. 70대 이상은 ▲이재명 32.3% ▲김문수 27.0% ▲오세훈 6.1% ▲한동훈 7.6% ▲김경수 3.3% ▲김동연 2.9% ▲김두관=원희룡 2.7% ▲홍준표 2.6% ▲안철수 1.9% ▲이준석 0.7% ▲김부겸 0.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이 전 대표는 호남권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고 뒤이어 강원·제주, 대전·충청·세종에서 과반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한 전 대표는 부산에서 10.1%로, 두자릿수 지지율을 보였다. 서울은 ▲이재명 46.9% ▲김문수 16.5% ▲한동훈 5.8% ▲홍준표 4.2% ▲유승민 3.3% ▲이준석 3.2% ▲김동연 2.6% ▲오세훈 2.1% ▲안철수 1.7% ▲김경수 1.6% ▲김두관=김부겸=우원식=원희룡 0.5% 경기·인천은 ▲이재명 49.4% ▲김문수 22.4% ▲한동훈 3.5% ▲홍준표 3.4% ▲안철수=오세훈 3.2% ▲김경수 1.8% ▲우원식 1.4% ▲유승민 1.2% ▲김두관=이준석 0.9% ▲김동연=원희룡 0.6%로 집계됐다. 대전·충청·세종은 ▲이재명 51.9% ▲김문수 11.8% ▲김동연 4.7% ▲홍준표 4.2% ▲한동훈 3.9% ▲오세훈 3.6% ▲유승민 3.4% ▲이준석 2.5% ▲우원식 1.8% ▲김경수 1.7% ▲원희룡 0.9% ▲안철수 0.6%였다. 강원·제주는 ▲이재명 55.4% ▲김문수 13.0% ▲한동훈 6.8% ▲김동연 6.2% ▲홍준표 3.7% ▲김경수 2.4% ▲김두관=김부겸 1.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재명 40.7% ▲김문수 14.2% ▲한동훈 10.1% ▲오세훈 6.5% ▲홍준표 6.2% ▲김동연 2.8% ▲김경수 1.8% ▲유승민 1.3% ▲원희룡 1.2% ▲안철수=우원식 0.7% ▲김부겸=이준석 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이재명 33.6% ▲김문수 23.5% ▲오세훈 9.5% ▲홍준표 6.9% ▲한동훈 4.9% ▲원희룡 3.0% ▲안철수 2.8% ▲유승민 2.7% ▲김부겸 2.2% ▲이준석 2.1% ▲김경수=김두관 1.0%였다. 광주·전남·전북은 ▲이재명 59.4% ▲김문수 14.6% ▲김경수 6.0% ▲안철수 3.6% ▲이준석=홍준표 2.2% ▲원희룡 2.1% ▲김부겸 2.0% ▲김동연 1.0% ▲김두관 0.9%이다. 지지정당별로는 차이가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이재명 87.9% ▲김동연 2.5% ▲김경수 2.4% 순이었고, 조국혁신당은 ▲이재명 64.9% ▲안철수 6.2% ▲김문수 4.8% 순이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김 전 장관을 가장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46.3% ▲한동훈 12.4% ▲홍준표 11.3% 순이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이준석 40.8% ▲유승민 16.2% ▲안철수 14.6% 순이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은 다가오는 조기 대선은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며 이재명 세력을 막아내는 것이 국가 정상화의 시발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라고 하면 오히려 코끼리를 생각하게 되는 것처럼 오히려 여론조사 결과는 이재명 전 대표의 주목도를 더 높여서 1강체제를 굳히는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이 전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라고 언급한 것처럼 본인 지지층을 넘어서 영남과 중도층 등으로 지지층을 확대해 '이재명 대 反이재명' 구도를 극복해야 하는 것도 숙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보수 후보들중에서는 김문수 전 장관이 지지율이 가장 높았지만 지난 조사대비 하락했으며, 다른 보수 후보들 또한 평균 이하로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5.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eyjin@newspim.com 2025-04-10 10: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