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일본, 신규 확진 3271명·사망 56명...나란히 역대 최다 경신

기사입력 : 2020년12월24일 08:05

최종수정 : 2020년12월24일 08:26

내년 초 일일 확진자 2500~3000명 예측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23일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나란히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신규 확진자는 3271명 발생하며, 지금까지 최다였던 지난 17일 3211명의 기록을 넘어섰다.

도쿄(東京)도에서는 신규 확진자가 748명 확인됐다. 지난 17일 821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숫자다. 도쿄의 일일 확진자는 4일 만에 700명 이상을 기록했다. 20대가 193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41명, 40대 130명 순이었다. 중증화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확진자는 91명이었다.

이밖에 오사카(大阪)부에서 312명, 가나가와(神奈川)현 346명, 아이치(愛知)현 239명, 홋카이도(北海道) 114명, 사이타마(埼玉)현 230명, 지바(千葉)현 142명, 효고(兵庫)현 169명, 후쿠오카(福岡)현 156명, 오키나와(沖縄)현에서 37명의 신규 확진자가 확인됐다.

[사진=NHK 캡처]

24일 0시 기준 일본의 누적 확진자 수는 20만7700명으로 늘어났다. ▲일본 국내 확진자(전세기 귀국자, 공항 검역 등 포함) 20만6988명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712명을 더한 것으로, NHK가 공개한 각 지자체 확진자 수를 취합한 수치다.

사망자는 도쿄에서 10명, 홋카이도 10명, 오사카부 8명 등 전국적으로 56명이 확인됐다. 일본 내 누적 사망자 수는 3082명으로 늘어났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13명 ▲일본 내 확진자 3069명이다.

일본의 사망자 수는 최근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첫 사망자가 확인된 지난 2월 13일 이후 1000명을 넘기까지 5개월이 걸렸고, 2000명까지는 4개월이 걸렸다. 반면, 3000명까지는 한 달이 걸렸다.

일본 내 확진자의 지역별 현황을 보면 ▲도쿄 5만3130명 ▲오사카부 2만7812명 ▲가나가와현 1만7731명 ▲아이치현 1만4666명 ▲홋카이도 1만2495명 ▲사이타마현 1만2212명 ▲지바현 9451명 ▲효고현 8607명 ▲후쿠오카현 7703명 ▲오키나와현 5047명(미군 확진자 제외) 순이다.

그 외 ▲교토(京都)부 3998명 ▲히로시마(広島)현 2578명 ▲시즈오카(静岡)현 2448명 ▲이바라키(茨城)현 2187명 ▲군마(群馬)현 2001명 ▲미야기(宮城)현 1873명 ▲기후(岐阜)현 1839명 ▲나라(奈良)현 1709명 ▲구마모토(熊本)현 1526명 ▲미에(三重)현 1176명 순이었다.

23일 시점에서 일본 내 확진자 중 인공호흡기를 부착했거나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중환자는 전일보다 1명 줄어든 619명이다. 증상이 개선돼 퇴원한 사람은 17만2774명이다.

코로나19 감염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PCR검사(유전자증폭 검사)는 지난 21일(속보치) 하루 3만5268건이 진행됐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마스크 차림의 도쿄 시민들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 2020.12.18 goldendog@newspim.com

◆ 내년 초 일일 확진자 2500~3000명 예측

일본의 코로나19 일일 확진자는 내년 초 2500~3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의 감염증역학센터는 22일 열린 후생노동성 코로나19 대책회의에서 이와 같이 분석한 예측 결과를 보고했다.

센터는 최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일 신규 확진자 수를 22일 시점에서 약 2600명으로 설정하고, 이날부터 2주간 신규 확진자 수 추이에 대해 '감염재생산지수'가 1보다 큰 1.1을 유지하는 경우와 1보다 작은 0.95를 유지하는 경우로 나눠 예측했다.

그 결과 1월 4일 신규 확진자 수는 감염재생산지수가 1.1인 경우에는 약 3000명, 0.95인 경우에는 약 2500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즈키 모토이(鈴木基) 센터장은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야를 불문하고 외식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확진자가 계속 늘어나게 되면 의료 붕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정부의 대책 강화를 요구했다.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