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쇼트클립 앱 콰이서우 홍콩 상장, 추석 특수 '월병' 매출 급증, 부동산 가격 상승 속 선전시 '최고가'

기사입력 : 2020년09월18일 10:50

최종수정 : 2020년09월18일 10:50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9월 14일~9월 18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사진 = 바이두] 쇼트클립(짧은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콰이서우(快手)가 빠르면 연내 홍콩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해 최대 5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 콰이서우 빠르면 연내 홍콩 IPO 추진, 기업가치 58조 예상

중국에서 최근 몇 년새 급성장한 쇼트클립(짧은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콰이서우(快手)가 홍콩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7일 텅쉰왕(騰訊網)에 따르면 콰이서우는 홍콩증시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해 최대 50억 달러(약 5조84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상장 일자는 빠르면 올해 말 또는 내년 1월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식통에 따르면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차이나르네상스(華興資本), 모건 스탠리 등이 콰이서우의 IPO를 주관하며, 빠르면 올해 10월말까지 IPO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들은 콰이서우가 상장을 완료할 경우 기업가치는 500억 달러(약 58조3550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0차례의 자금조달을 통해 43억7000만 달러를 모집했다. 지난해 12월까지 텐센트(騰訊), 윈펑캐피털(雲鋒基金), 테마섹홀딩스(淡馬錫), 세콰이어캐피털(紅杉資本) 등이 3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투자 후 기업가치는 286억 달러로 높아졌다.

2011년 3월 베이징콰이서우테크(北京快手科技有限公司)가 출시한 콰이서우(구 GIF콰이서우)는 이용자를 빠르게 늘리며 중국을 대표하는 동영상 공유 앱으로 성장했다.

지난 2015년 6월 기준 콰이서우 앱(APP)의 안드로이드와 iOS 이용자는 1억명을 돌파했고, 2016년 4월에는 3억명을 돌파했다. 올해 6월까지 콰이서우 앱의 월간 액티브 유저(MAU)는 4억3000만명을 넘어선 상태다. 다만, 경쟁 서비스업체인 바이트댄스 산하 더우인(抖音)의 5억명에는 못 미치는 수치다.

[스자좡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중국 스자좡(石家莊) 소재의 한 월병 제조 업체에서 직원들이 수작업으로 월병을 제조하고 있다.

◆ 추석 특수 맞은 '월병 시장', 판매량 125% 급증

중국 대표 명절인 중추절(中秋節, 중국 추석)을 앞두고 월병(月餠) 시장이 특수를 누리고 있다. 월병은 중국 중추절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한국인이 추석 명절 송편을 먹는다면, 중국인들은 월병을 먹는다.

중추절과 국경절(國慶長)의 양대 명절이 겹치면서 올해는 1일~8일까지의 장기 연휴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것이 소비심리를 더욱 자극하는 요인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온라인을 통한 판매량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CCTV재경(央視財經)에 따르면 중국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징둥(京東)에서 9월 15일까지 판매된 월병 수량은 전년동기대비 125% 늘어났다. 특히, 인지도 높은 브랜드의 제품 판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징둥 소매판매 식품부 왕샤오쥔(王曉軍) 책임자는 "메이신(美心), 광저우주자(廣州酒家) 등 주요 브랜드의 제품 판매량이 전년동기대비 배 이상 늘었다"면서 "특히, 베이징 전통브랜드인 다오샹춘(稻香村)과 상하이 샹화러우(杏花樓)의 판매량은 2.5배 늘었다"고 전했다.

오프라인에서의 판매량 증가율은 온라인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나, 판매량 규모 면에서는 지난해와 비교해서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에서 월병을 생산하는 업체인 선전둬둔식품유한공사(深圳多頓食品有限公司) 관계자는 "올해 월병 판매액은 전년대비 30% 늘었다"고 전했다.

아이미디어 리서치(iiMedia Research·艾媒咨詢)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월병 판매량은 13억8000만 개에, 판매액은 전년동기대비 7.9% 늘어난 196억7000만 위안에 달했다. 최근 몇 년간 스타벅스와 피자헛, KFC 등 글로벌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월병 시장으로 속속 진출하면서 시장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전국 70개 중대형 도시의 8월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8월 신규주택 가격이 전달 대비 상승한 도시는 59곳이었다.

◆ 중국 부동산 가격 상승세, 선전 집값 가장 비싸  

중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충격에서 빠르게 회복되면서, 부동산 시장도 점차 활기를 되찾아가는 모습이다.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전국 70개 중대형 도시의 8월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같은 기간 신규주택 가격이 전달 대비 상승한 도시는 59곳이었다. 1선, 2선, 3선도시의 신규주택 가격은 각각 전달 대비 각각 0.6%, 0.6%, 1.0%씩 올랐다. 8월 기존주택 가격이 전달 대비 상승한 도시는 47곳으로 집계됐다.

도시별로는 선전(深圳)시의 부동산 가격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평균판매가격은 1평방미터(㎡) 당 7만5249위안에 달했다. 이어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샤먼(廈門), 광저우(廣州)가 각각 1평방미터 당 6만2514위안, 5만8232위안, 4만8285위안, 3만7261위안으로 전국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높은 5대 도시에 포함됐다. 이 중 샤먼을 제외하고는 모두 1선 도시였다.

선전시는 부동산 판매가격뿐 아니라, 가격 상승률 측면에서도 전국 도시 중 가장 높았다. 올해 초 대비 선전시의 부동산 판매가격은 16.87% 올랐다. 반면, 베이징의 부동산 판매가격은 올해 초 대비 4.41% 떨어졌다.

이와는 반대로 부동산 평균판매가격이 가장 낮은 도시는 헤이룽장(黑龍江)성 허강(鶴崗)시로, 판매가격은 1평방미터 당 2355위안인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이 10만위안이라고 가정할 때, 허강시에서는 40평방미터 정도 규모의 집을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다.

헝다연구원(恒大研究院)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지역경제 불황과 함께 다른 도시로 거주지를 옮기는 인구가 늘어난 것이 일부 도시 부동산 가격 하락의 주된 요인"이라고 평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일라이 릴리, 먹는 비만 약 임상 성공적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주사 없이 하루 한 알로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비만 치료제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17일(현지시간) 현재 회사가 개발 중인 경구용 GLP-1 작용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 3상 시험에서 체중 감량과 혈당 조절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0주간 진행됐다. 최대 용량을 복용한 환자들은 평균 체중의 7.9%(약 7.3kg)를 감량했으며, 시험 종료 시점에도 체중 감량이 멈추지 않아 체중 감량 정체기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라이 릴리는 "이번 결과는 주사제에 버금가는 수준이며, 안전성과 내약성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일라이 릴리 로고 [자료=로이터] 다만, 당뇨병 치료의 핵심 지표인 혈당 조절 효과(A1c)는 1.3~1.6%포인트 개선에 그쳐,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기대한 1.8~2.1% 수준에는 못 미쳤다. 하지만 위약군이 0.1% 감소에 그친 점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개선이라는 평가다. 부작용은 대부분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위장 장애였으며, 최대 8%의 환자만이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했다. 업계에서는 하루 한 번 복용하는 특성상 주사제보다 부작용이 클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실제 데이터는 이를 크게 웃돌지 않았다. 오포글리프론은 기존 주사제인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 등과 달리 펩타이드가 아닌 비펩타이드 경구 약물로, 체내 흡수가 더 용이하고 식이 제한이 필요 없는 것이 강점이다. 또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 글로벌 수요 대응에도 유리하다는 평가다. 일라이 릴리는 올해 말 비만 치료제로 먼저 허가 신청을 할 계획이며, 당뇨 치료제는 2026년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은 총 7건(당뇨병 5건, 비만 2건)으로, 경쟁사인 아스트라제네카와 로슈, 바이킹 테라퓨틱스보다 최소 3년 이상 앞선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시장이 2030년대 초 1500억 달러(약 2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중 경구형 약물만 500억 달러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본다. 글로벌 공급난 해소와 주사제 대체 가능성을 모두 갖춘 오포글리프론이 상용화될 경우, 일라이 릴리가 시장 주도권을 확고히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같은 보도 내용에 이날 뉴욕 증시 오전 거래에서 일라이 릴리(LLY)의 주가는 16% 넘게 급등하고 있다. koinwon@newspim.com 2025-04-17 22:56
사진
이재명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 추진"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6·3 대통령선거 예비후보는 17일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겠다"며 국회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으로 완전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겠다"며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2025.04.16 mironj19@newspim.com 이 예비후보는 이날 충청 지역 공약 로드맵을 제시했다. 세종은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 과학 수도로 만들겠다고 했다. 대전에 대해서는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전환하겠다"며 "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재 양성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예비후보는 대전연구특구를 "AI와 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전략과 연계해 세종을 스마트·디지털 행정 허브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 삭감된 R&D 예산은 대폭 늘리겠다고 했다. 충청권에는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를 잇는 첨단산업벨트 구축을 약속했다. 이 예비후보는 "보령‧태안‧당진에 있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지역을 태양광·풍력·그린수소 등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하는 지역 지원 특별법을 추진하겠다"며 "논산, 계룡에 국방 관련 기관을 유치해 스마트 국방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예비후보는 "충북 내륙은 휴양·힐링 관광벨트로 발전시키겠다"며 ▲청주~증평~진천~음성까지 이어지는 관광·휴양지 조성을 지원 ▲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 조성 지원을 약속했다. 아울러 "청주공항을 확장하고, 사통팔달 광역 교통망을 구축하겠다"며 ▲청주국제공항에 민간전용 활주로 신설 ▲충남 서산~천안~청주~경북 울진을 잇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조기 확정 등을 약속했다.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2025.04.14 photo@newspim.com 다음은 이 예비후보가 페이스북에 올린 충청 지역 공약 전문이다. <이재명 경선후보 페이스북 게시용 충청 지역공약>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습니다"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심장입니다.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입니다.충청의 심장이 힘차게 뛰어야, 대한민국 경제의 혈맥이 살아납니다. 수도권 집중으로 지역은 소외되고, 기회는 편중됐습니다.국가가 나서야 합니다. 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입니다.충청에 맞는 산업을 배치하고, 과감한 투자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야 합니다.저 이재명, 진짜 균형발전에 앞장서겠습니다.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조성해,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삼겠습니다. 세종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 과학수도로 만들겠습니다.충북은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충남은 환황해권의 거점으로 완성하겠습니다. 첫째,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습니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겠습니다.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습니다.중단(2019년)된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재개하겠습니다. '무늬만 혁신도시'가 아닌 실질적 기능을 갖추겠습니다.대전과 충남 혁신도시에는 지역 경쟁력을 고려한 공공기관을 유치하겠습니다.충북혁신도시는 중부내륙 성장거점으로 키우겠습니다. 둘째, 대전을 한 차원 높은 과학 수도로 만들겠습니다.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전환하겠습니다.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재 양성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겠습니다. 삭감된 R&D 예산은 대폭 늘리고, 연구자와 기술자 정주 여건도 개선하겠습니다.성과 지원을 두텁게 해 무너진 연구 생태계를 다시 일으키겠습니다. 셋째, 충청권에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습니다.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습니다. 대전 대덕연구특구는 AI와 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우겠습니다.'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전략과 연계해세종을 스마트‧디지털 행정 허브로 자리매김하겠습니다. 충북은 K-바이오스퀘어를 조기 조성해글로벌 바이오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겠습니다.이차전지‧반도체사업 분야는 R&D와 인력 양성 인프라를 강화해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겠습니다. 충남은 국제 경쟁력과 생산성을 갖춘,미래형 디스플레이 산업 메카로 만들겠습니다.국산화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핵심 소재‧부품기업을 육성하겠습니다.혁신공정 플랫폼 등 인프라도 갖춰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확보를 지원하겠습니다. 보령‧태안‧당진에 있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지역을태양광‧풍력‧그린수소 등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하는지역 지원 특별법을 추진하겠습니다.논산, 계룡에 국방 관련 기관을 유치해 스마트 국방산업 발전을 지원하겠습니다. 넷째, 환황해권 해양관광벨트와 충북 휴양‧힐링 관광벨트를 조성하겠습니다. 서해안 해양 생태를 복원하고,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을 지원하겠습니다.해상교량 건설로 서해안 관광도로망을 완성하겠습니다.서천 브라운필드는 재자연화를 거쳐 생태관광 명소로 탈바꿈시키겠습니다. 서산 부남호와 간월호는 해수 유통 등 역간척 사업으로 생태계를 복원하고, 해양신도시 개발도 함께 지원하겠습니다.금강 하구에 해수를 들여 자연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입법과 제도개선으로 뒷받침하겠습니다. 충북 내륙은 휴양·힐링 관광벨트로 발전시키겠습니다.도민의 뜻을 모아 미호강 수질을 개선하고, 청주 ~ 증평 ~ 진천 ~ 음성까지 이어지는 관광·휴양지 조성을 지원하겠습니다.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 ‧ 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 조성도 지원하겠습니다. 다섯째, 청주공항을 확장하고, 사통팔달 광역 교통망을 구축하겠습니다. 청주국제공항에 민간전용 활주로를 신설해, 중부권 거점공항이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충남 서산~천안~청주~경북 울진을 잇는중부권 동서횡단철도는 조기에 확정하겠습니다.충북선‧호남선 고속화를 서둘러 X자형 강호축 철도망을 완성하겠습니다. 대전~세종~오송~청주공항을 연결하는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는 적기에 착공하고,GTX의 천안‧아산 연장도 신속히 추진하겠습니다. 잠실 또는 동탄에서 청주공항까지 이어지는수도권내륙 광역철도도 빠르게 추진하겠습니다. 우선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대전조차장 부지를 시작으로,대전 도심 철도 지하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서해대교 인근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제2 서해대교 건설을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존경하는 충청권 시민, 도민 여러분!저는 늘 현장에 답이 있다는 신념으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어 왔습니다.자부심 넘치고 행복한 도시 충청을 만들겠습니다. 4개 시도가 하나 되어 통합경제권을 만들고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충청이 살면 대한민국이 살 것입니다.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지금은 이재명입니다. 감사합니다. ycy1486@newspim.com 2025-04-17 09: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