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까지 국내외서 승승장구했지만
코로나19 확산 따른 '글로벌 셧다운' 유탄 맞아
최근 잇단 부동산PF 규제까지...신규 상품 발굴 난관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지난주 국내 증권사들은 일제히 1분기 성적을 공개했다. 올해초 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판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돌입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을 흔들면서, 국내 증권사들의 실적도 함께 고꾸라졌다.
특히 지난해까지 실적을 견인하던 대체투자 관련 부서의 위기감은 시간이 갈수록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투자가 사실상 봉쇄된 가운데 국내에서도 부동산 시장 경색 우려와 당국의 PF 규제까지 겹치면서 신규 먹거리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여의도 증권가 / 이형석 기자 leehs@ |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앞서 지난 18일 금융위원회는 '자산유동화 제도 종합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유동화 시장이 기업 등 자금조달 통로료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 이번 방안은 자산유동화 시장 전반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강화와 기업 자금조달 활성화에 방점이 찍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포함된 내용 가운데 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증권의 자금조달과 운용 간 미스매치(만기불일치) 해소가 주요 정책 개선과제로 분류된 것이다.
통상 증권사들은 부동산 시행사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를 발행해 신용보강을 제공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단기금융시장에 충격이 발생하면서 증권사가 유동성을 공여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의 차환위험이 부각되자, 금융위는 장단기 자금조달 및 운용 과정에서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듀레이션을 일치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사실상 부동산PF 규제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이미 부동산PF에 대한 다양한 규제가 마련된 상황에서 단기자금시장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ABCP 발행까지 엄격히 통제할 경우 관련 수익 감소를 피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한 대형증권사 관계자는 "부동산PF는 단순히 증권사만의 문제가 아닌 건설사 사업 시행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며 "부동산PF가 IB부문에서 차지하는 규모를 생각하면 실적 감소는 불보듯 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확산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일제히 폭락했던 3월 이후 부동산PF 업황은 급격히 나빠지는 중이다. 신규 부동산PF 유동화증권 발행이 전무한 반면 만기가 돌아온 매입 약정 ABCP가 시장에서 유통되지 못해 증권사가 떠안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기도 했다.
여기에 하반기부터 시행되는 부동산PF 채무보증 규제 또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지난 11일 금융위가 발표한 '금융투자업규정 일부개정규정안 규정변경예고'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증권사들은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비율을 맞춰야 한다.
구체적으로 올해 연말까지 120%, 내년 초부터 6월말까지 110%, 이후에는 100% 이하로 제한된다. 다만 채무보증 잔액 계산시 전체 부동산 대신 국내 주거용 부동산(100%), 국내 상업용 또는 해외 주거용·상업용 부동산(50%), 국내외 사회기반시설(0%) 등 부동산 종류별로 반영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적용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작년 12월 발표된 내용보다는 일부 완화되며 인위적인 PF 익스포져 감축 등 큰 폭의 수익성 훼손 우려는 일단 해소됐다"면서도 "향후 시장 성장이 제한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먹거리 확보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증권사 수수료수익별 비중(단위:%)[자료=NICE신용평가] |
다만 이런 일련의 변화들이 중장기적으로는 잠재된 신용위험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도 나온다.
최근 국내 대형증권사 2020년 정기평가 결과를 공개한 나이스신용평가 보고서가 대표적이다. 나이스신평은 증권사들이 최근 수년간 확충된 자기자본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위험인수 전략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으나, 코로나19로 영업환경이 크게 악화된 만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기필 나이스신평 금융평가1실장은 "증권사가 적극적으로 위험인수를 확대했던 파생결합증권, 우발채무, 해외 대체투자 익스포져는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될수록 대형 증권사들의 신용위험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높다"며 "적극적인 위험관리를 통한 금융시장 추가 변동성 대응능력 확보가 하반기 주요 모니터링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