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제약·바이오

속보

더보기

제테마, '보톡스 균주 논란' 종식..수출길 청신호

기사입력 : 2019년12월17일 18:29

최종수정 : 2019년12월18일 08:37

보툴리눔 균주 유전자정보 NCBI에 등재..국내 최초
해외기관 정식 도입 톡신 균주로 '글로벌 시장' 날개

김재영 제테마 대표

[서울=뉴스핌] 정태선 기자=글로벌 뷰티 바이오 기업 제테마는 보유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균주 유전자정보를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 등재했다. 국내업체 중에는 처음이다. 이에 따라 제테마는 톡신 균주 논란을 확실하게 잠재우고, 안정적인 제품 공급은 물론 수출길에도 청신호를 밝히게 됐다.

제테마는 "보유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균주를 NCBI에 지난 6일 CP046450(chromosomal DNA), CP046451(plasmid DNA) ID로 등록했다"고 17일 밝혔다.

보툴리눔 톡신은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에서 추출한 독성물질로 약 0.0000002g(0.2마이크로그램)의 양으로도 70kg인 성인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생화학 무기로 취급하고, 글로벌 생물무기 금지협약에 따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균주 출처 논쟁은 다양한 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제테마는 2017년 영국 공중보건원(PHE, Public Health England)의 산하기관인 NCTC에서 톡신 균주(NCTC13319)를 상업용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도입했다.

반면 국내 일부 톡신 기업들은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톡신 균주의 기원에 대해 끊임없이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대웅제약과 메디톡스가 보툴리눔 톡신 균주 도용 문제로 수년간 법적공방을 벌이고 있다. 메디톡스는 자사 전직 직원이 대웅제약에 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을 넘겼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 ITC 등에 대웅제약과 대웅제약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ITC에 제소한 상황이다.

이러한 균주 논란을 피하기 위해 제테마는 지난 11월 상장에 앞두고 보유한 보툴리눔 톡신의 유전 서열을 공개했다. 자사 균주를 유전체 분석기관에 의뢰했고,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한 ATCC3502(영국 PHE 명칭: NCTC13319)와 99.97% 유사함을 확인했다.

ATCC3502는 글로벌 제약사 멀츠의 톡신 의약품인 제오민(XEOMIN) 및 입센의 디스포트(Dysport)의 균주다. 또 보톡스 균주인 Hall(Hall A hyper) 균주와 95.06% 동등성을 확인했다.

제테마는 이번에 유전자 정보를 NCBI에 등재까지하면서 안팎으로 균주 논란에서는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출처가 분명한 영국업체서 상업용 계약을 통해 균주를 도입했다는 것이 재차 입증된 것.

김재영 제테마 대표는 "제테마는 설립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한 기업으로 균주부터 설비, 특허, 원자재 하나하나 모두 글로벌 수준으로 준비했다"며 "이번 유전자정보 등재를 통해 글로벌과 치료용 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wind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