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무대응' 전략으로 일관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과 관련된 미국 내 10여 건의 소송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미 법원은 북한 선박 '와이즈 어네스트' 호에 대한 몰수 판결을 내린 바 있다.
25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10여건의 송사에 휘말렸지만 '무대응'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배상해야 할 금액만 10억달러(1조1750억원)에 이른다.
![]() |
|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이 의심되는 사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일본 방위성] |
북한이 미 법원에 피고소인으로 처음 이름을 올린 건 지난 1993년이다. '니코 엔터프라이즈'라는 기업은 뉴욕 소재 로펌을 고용해 북한 당국과 '조선흑색금속수출입상사'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관련 소송은 1994년 최종 기각됐으며, VOA는 "당시 원고 측은 북한을 법정에 세우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VOA에 따르면 1990년대 첫 번째 소송을 제외하면 대부분 2000년대 제기된 것이다. 대다수의 원고들은 북한의 테러 지원 등으로 피해를 입은 희생자 가족이라고 한다.
그 중 1972년 이스라엘에서 발생한 '적군파 테러' 희생자 가족인 루스 칼데론 카도나의 소송이 대표적이다. 그는 북한이 적군파 요원들에게 숙식과 통신 장비 등을 제공했다고 주장해 지난 2010년 3억달러 배상판결을 받았다.
![]() |
| 2015년 북한을 방문했다가 억류된 뒤 귀국했지만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와 더불어 북한에서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돌아와 숨진 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소송도 잘 알려져 있다.
현재 북한에게 내려진 배상금 총액은 웜비어 가족들에게 내려진 5억 달러를 비롯해 중국에서 납북돼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김동식 목사, 카도나 측의 승소액 각각 3억 달러 등 총 10억 달러가 넘는다.
미국은 다른 나라 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한 나라에 대해서는 '외국주권 면제법'에 의거해 예외로 하고 있다. 북한은 현재 테러지원국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북한은 미국 내 각종 소송에 무대응 전략을 취하고 있다. 북한은 국제우편서비스를 통해 전달된 최종 판결문 수신을 거부 또는 반송하고 있다. 수신 하더라도 추가적인 법적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no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