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이란을 석유시설 피격 사건의 배후로 언급, 군사 대응보다 평화적 해결을 낫다는 입장을 밝혔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빈 살만 왕세자는 최근 CBS방송 프로그램 '60미닛츠'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사우디와 이란 간 군사적 갈등은 글로벌 경제에 붕괴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자신은 "군사적 대응보다" 평화적인 해결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가 협력해 이란을 제지하지 않으면 원유 가격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치"를 나타낼 것이라면서 "만약 세계가 강력하고 강인한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우리는 추가적인 고조를 목격할 것이고 이는 세게 이익을 위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만나 새로운 핵합의 도출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우디, 미국, 유럽3국(영국·프랑스·독일)은 지난 14일 사우디 국영 아람코 석유시설 두 곳에서 발생한 무인항공기(드론) 공격 배후로 이란을 지목하고 있다. 친이란 성향의 예멘 후티 반군이 사건 배후를 자처했지만 사건 증거는 이란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 이들 국가의 주장이다. 이란은 제기된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 |
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단체사진 촬영 도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에게 귓속말을 하고 있다. 2019.06.28.[사진=로이터 뉴스핌]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