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국제세미나' 개최
대륙철도 최적 노선 4개, 연관 사업 30개 제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북한을 거쳐 유라시아 대륙을 철도로 연결하기 위한 동북아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기구를 오는 2023년까지 설립한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국제세미나'가 열렸다.
![]() |
4일 서울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국제세미나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토부] |
동아시아철도공동체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안한 구상이다. 우리나라와 북한,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등 동북아시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해 철도를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와 경제협력 사업을 이행하는 국가 간 협의체이다.
김경욱 국토부 차관은 이날 "이번 세미나는 9.19 평양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우리 정부가 제안한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세부구상과 설립 이행방안을 대외에 공유하고 국제사회에 알리는 첫 공식 국제행사"라며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세미나에서 수렴된 의견들을 반영하고 추진사업에 대한 타당성 분석, 재원조달방안 강구 등 추가적인 연구를 거쳐 올해 말까지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 이행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세미나는 공동체 참여국의 정부대표단과 전문가가 참여한 첫 공식 국제세미나다. 세계은행 철도솔루션팀 리더인 마사 로렌스가 지역 통합과 철도물류의 역할을, 한국개발연구원(KDI) 김강수 박사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세부구상안과 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이행방안을 발제했다.
마사 로렌스는 "중국-유럽 간 블록트레인 연결, 중앙아시아 철도회랑을 통한 지역 간 협력, TEN-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등의 사례로 철도협력이 지역통합을 이루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동아시아철도공동체가 동아시아지역의 경제발전과 평화체제 구축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김강수 KDI 연구위원은 동북아시아의 기존 철도 운영현황을 고려해 가장 효율적인 물류운송이 가능하리라 예상되는 4개 최적 철도노선을 제시했다. 또 각 국에서 추진 중인 교통물류협력사업을 검토해 동아시아철도공동체와 연계될 철도건설사업, 경제특구, 물류, 관광, 에너지 및 자원개발 사업 등 30여개 경제협력사업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각 참여대상국은 운송비 절감에 따른 교역량 및 소득 증가, 활발한 교류에 따른 시장 확대, 연관 산업 발전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동체 참여국의 국가총생산량(GDP)은 39조6000만달러로 세계 GDP의 49.8%에 달하며, 인구는 21억1000만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27.4%를 차지하고, 7개 참여국 간 교역비중도 각 국별 총 교역량의 25~89%로 매우 활발하다"며 "동아시아철도공동체를 통해 국가 간 협력이 강화될 경우 세계 최대 경제권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적 이행방안으로 2020년 민간국제포럼 설립, 2021년 정부 간 협의체 구성, 2023년 말까지 국제협력기구를 설립하기로 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엄구호 한양대 교수를 좌장으로 각 국 정부 관계자 및 전문가 9명이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수립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그 실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블라디미르 토카레프 러시아 교통부 차관, 바트볼드 산다크도르지 몽골 도로교통부 차관, 옌허시양 중국 국가철로국 총공정사 등 대상국 정부 관계자와 일본 ERINA, 중국 요녕대학교, 세계은행(World Bank) 및 GTI(Great Tuman Initiative) 등이 참석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