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부동산 정책

속보

더보기

[2019 시공능력평가] 아파트 실적 8위 삼성물산..건축 1위 배경은?

기사입력 : 2019년07월29일 11:08

최종수정 : 2019년07월29일 11:08

삼성물산, 지난해 아파트 실적 1.9조원 8위
아파트 1위 GS건설 4.9조원..3분의 1 수준
그룹 발주 물량으로 4.6억원 달성..건축부문 1위
현대건설 토목, GS건설 산업설비에서 1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신규 주택사업에 보수적인 삼성물산이 지난해 건축분야 실적 1위에 올랐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아파트공사 실적은 1조9357억원으로 8위에 그쳤지만 그룹 내 발주 물량 덕에 4조6000억원의 실적을 더하며 건축분야 실적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토목분야에서는 현대건설, 산업환경설비분야에서는 GS건설이 각각 지난해 실적 1위를 기록했다.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지난해 종합건설업 업종별 공사실적을 보면 토건(토목+건축)분야 년 연속 시공능력평가 1위를 차지한 삼성물산(9조4561억원)이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시평 4위인 GS건설(7조4392억원)과 시평 5위 대우건설(6조6086억원)이 2,3위를 차지했다. 시평 2위인 현대건설의 지난해 토건분야 공사실적은 6조5409억원으로 4위에 그쳤다. 이어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SK건설, 현대산업개발, 한화건설 순이다.

서울 상일동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옥 전경 [사진=서영욱 기자]

업종별로 지난해 공사실적을 보면 먼저 건축분야에서는 삼성물산이 7조4452억원으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GS건설(6조4677억원), 대우건설(5조1377억원), 대림산업(4조8870억원), 현대건설(4조4865억원)이 뒤를 이었다.

삼성물산의 건축분야 실적은 대부분 광공업용(4조6101억원, 1위) 공사에서 나왔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모그룹에서 발주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공장이 핵심으로 건축공사 실적의 61.9% 가량을 차지했다. 삼성물산의 지난해 아파트공사 실적은 1조9357억원으로 8위다. 삼성물산의 아파트공사 실적이 건축공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로 다른 건설사들에 비해 주택사업 의존도가 낮았다.

아파트 공사실적 1위를 차지한 GS건설(4조9727억원)은 아파트공사가 건축공사에서 76.9%를 차지한다. 대우건설(3조9910억원)도 아파트공사가 건축공사의 77.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대림산업(3조6362억원, 74.4%), 포스코건설(3조66억원, 77%), 롯데건설(2조8627억원, 74%)도 건축분야에서 아파트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넘어섰다.

현대건설은 업무용시설(8443억원)과 교육·사회용(4215억원) 공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단독연립주택은 한화건설(742억원), 상가시설은 신세계건설(4269억원), 숙박시설은 쌍용건설(2127억원), 전통양식건축은 연흥종합건설(39억원), 기타건축공사분야는 S&I코퍼레이션(2724억원)이 차지했다.

토목분야는 현대건설(2조544억원)이 1위, 삼성물산(2조109억원), 대림산업(1조4786억원), 대우건설(1조4709억원), SK건설(1조2558억원)이 뒤를 이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현대건설은 항만(3337억원) 공사와 기타토목공사(6111억원)에서 1위를 차지했다. 삼성물산은 도로(7422억원)·댐(1594억원)·공항(3430억원)·지하철(4834억원) 4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철도공사는 대우건설(3240억원), 하천·산림·농수산토목공사는 한진중공업(406억원), 상수도는 삼성엔지니어링(695억원), 하수도는 코오롱글로벌(686억원), 택지·용지조성은 SK건설(3275억원)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2018년 종합건설업 업종별 공사실적 현황 [자료=국토부]

산업환경설비분야에서는 GS건설(4조5304억원)이 1위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GS건설은 산업생산시설(1조6555억원)·쓰레기소각장(506억원)·하수종말처리장(358억원) 3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원자력발전소는 현대건설(3524억원), 화력발전소는 두산중공업(1조7048억원), 열병합발전소는 삼천리이에스(1933억원), 수력발전소는 현대엔지니어링(204억원), 폐수종말처리장은 SK건설(872억원), 에너지저장·공급시설은 대우건설(7921억원), 기타산업·환경설비공사분야는 삼성엔지니어링(3조5704억원)이 1위를 기록했다.

조경분야는 중흥토건(744억원)이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삼성물산(612억원), 제일건설(526억원), 우미건설(505억원), 반도건설(474억원)이 뒤를 이었다.

중흥토건은 기타조경(744억원)에서 1위를, 대림산업은 수목원(81억원), 계룡건설산업은 공원조성(229억원) 공사에서 각각 1위를 기록했다. 

 

syu@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