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분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6.0%
GDP 대비 가계부채 상승 속도 0.8%p ↑...1위는 중국(1.0%p↑)
[서울=뉴스핌] 민지현 기자 = 우리나라의 국내 총생산(GDP) 대비 가계 빚 증가속도가 세계 2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6.0%로 관련 통계가 있는 43개국 가운데 7위에 올랐다. 1위는 스위스(128.8%), 2위는 호주(121.3%), 3위는 덴마크(117.0%) 순이었다.
GDP 대비 가계부채 상승 속도는 전 분기보다 0.8%p 상승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중국으로 전 분기 대비 1.0%p 상승했다. 1년 전 2017년 2분기와 비교한 상승 폭은 2.4%p로 중국(3.4%p), 덴마크(2.9%p)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대출 관련 규제가 완화돼 가계부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4년 전과 비교하면 4년간 14%p 상승했다. 중국(15.5%p), 노르웨이(14.7%p)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가계 빚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지난해 2분기 말 12.4%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DSR 상승 폭은 0.2%p로 관련 통계가 있는 17개국 중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을 제외하고 전 분기 대비 DSR이 증가한 곳은 캐나다(0.1%p) 뿐이었다.
DSR은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대출자의 연 소득에서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쓰이는 돈이 어느 정도 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 |
새로운 대출규제 방식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최근 시행됐다. DSR은 개인이 상환해야 하는 연간 대출의 원금과 이자가 연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종합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신용대출과 자동차할부금, 카드론 등 모든 종류의 부채를 포함한다.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 보다 대출요건이 까다로워 진다. 이날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의 모습. /이형석 기자 leehs@ |
jihyeon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