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빛바랜 차세대 유망 업종', 2018년 중국에서 문 닫은 스타트업 업종 TOP5

기사입력 : 2018년12월31일 16:25

최종수정 : 2018년12월31일 16:25

투자유치엔 성공했으나 수익 내지 못한 中 스타트업
블록체인 P2P금융 장기임대주택 무인편의점 공유경제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벌써 몇 년째 시린 겨울을 경험해 왔으나, 2018년은 그야말로 ‘암흑 시기’ 였다.” 중국 창업 전문매체 촹예방(創業邦)이 인용한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2018년 3월 미중 무역전쟁 발발로 중국 스타트업들도 직격탄을 맞았다. 비록 금융당국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확대하라고 지시했으나, 변변한 담보 없이 사업성만으로 승부하는 스타트업들이 대출을 받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시중 유동성이 경직되면서 투자자들은 더욱 몸을 사렸다. 주가는 하락하고 부동산 시장도 주춤하면서 소비자들도 지갑을 열지 않았다.

촹예방은 2018년 한 해 중국에서 실패한 스타트업을 분석하면서 ‘중국=스타트업 천국’이란 공식도 깨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블록체인 ▲P2P금융 ▲부동산 ▲신소매 ▲공유경제 등 업종에서 대형 스타트업들의 도산이 이어졌으며, 이런 추세가 2019년에도 지속할 것이란 분석이다.

◆ 블록체인: 한순간에 꺼진 거품

올해 초까지 가상화폐 가격이 급등하면서, 블록체인은 ‘세상을 바꾸는 명약’으로 불리며 수많은 스타트업들을 탄생시켰다. 블록체인 플랫폼, 가상화폐 채굴 사업장, 블록체인 미디어에 이어 블록체인 기반 훠궈 식당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그로부터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지금, 이미 대다수 블록체인 기반 스타트업들은 문을 닫고 사업을 전환했다. 투자자들의 피해는 정확히 집계되지도 않는다.

촹예방은 “예전 인터넷 IT 버블과 마찬가지로, 신흥 산업들은 모두 거품현상을 겪는다”면서도 “다만 블록체인은 그 거품이 너무나 컸고 너무나 빨리 꺼졌다”고 설명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상화폐 가격 폭락에 이어 관련 스캠(사기) 사건까지 터지면서 업계 충격이 더욱 컸다”고 설명했다. 주요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 꼽히던 차오지밍싱(超級明星) 이더(以德) 등과 블록체인 게임 업체 칭와dog(青蛙dog) 등이 올해 문을 닫았다.

다만 올해 11월 인민은행이 블록체인 관련 보고서를 발행하고 전임 인민은행장인 저우샤오촨(周小川)이 ”블록체인 기술은 여전히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상황이 반전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기술력을 갖춘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되살아날 기회가 올 것이라고 촹예방은 분석했다.

산처럼 쌓여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중고 가상화폐 채굴기(왼쪽)와 저울에 채굴기를 달아보고 있는 매매업자(오른쪽) [사진=신랑차이징]

◆ P2P금융: 무분별한 사업 확장의 끝은 줄도산

2018년 하반기 들어 탕샤오썽(唐小僧) 롄비금융(聯璧金融) 등 대형 P2P 업체들이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더이상 안전한 P2P업체는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자금 조달이 막히면서 중소형 업체들의 도산은 더욱 가속화했다. P2P업체 왕다이즈자(網貸之家)는 올해 최소한 383개가 넘는 업체들이 문을 닫았다고 집계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2016년 8월 당국이 P2P업체 관리감독 강화를 천명한 뒤로부터 상황이 서서히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대학생들을 상대로 불법 고리대금 영업을 일삼고, 무분별하게 고객의 돈을 끌어다 쓰면서 업계 전반의 성장을 저해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본인의 나체 사진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누드대출’까지 성행하면서 P2P 규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2014년 2300개에 달하던 P2P 업체 수는 매년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P2P금융이 내수진작 및 금융업 활성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건전한 발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쑤닝(蘇寧)금융연구원은 “비록 문제가 많지만 P2P 방식은 이미 새로운 금융 모델로 자리잡았다”며 “장기적인 조정을 거친 뒤 우량 P2P업체를 중심으로 업계가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부동산: 떠들썩했던 임대주택의 그늘, 부동산 수익성 악화

지난 2017년 말, 중국 당국은 “집은 거주하는 것이지 투기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임대주택 활성화 및 임대사업 지원을 강조했다. 1년 넘게 지속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데 대한 대응책이었다.

정책 수혜에 힘입어 임대주택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집중됐나 결과는 처참했다. 창업 초기에만 해도 주요 기관들의 러브콜을 받았던 ▲하오쭈하오주(好租好住) ▲유주커(優租客) ▲아이궁위(愛公寓) ▲딩자왕뤄(鼎家網酪) 등 업계 선두 스타트업들은 모두 사업을 중단하거나 파산했다.

전문가들은 “임대주택 사업이 ‘규모의 경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업을 확대하지 않으면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무분별한 투자로 인해 경쟁이 과열되다가 동반 침몰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기업 워아이워자(我愛我家)는 “장기 임대주택 사업은 사회 부동산 발전 측면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면서 “철저한 기업가치 분석 및 대형 업체의 브랜드화 정착이 우선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바이두]

◆ 신소매: ‘빛 좋은 개살구’ 무인상점, 무인편의점

2016년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온·오프라인과 물류를 결합한 ‘신소매(新零售)’를 제시하면서. 중국 주요 유통 체인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신소매 경쟁에 뛰어들었다. 특히 무인 상점, 무인 편의점은 유통 혁명의 주인공으로 꼽히며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알리바바 징둥 텐센트 등은 무인 상점은 물론, 무인 식당과 무인 호텔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무인 가판기와 무인 편의점이 기대와 달리 아직까지 뚜렷한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매체 촹예방은 “30여 개 기업들이 25억 위안이 넘는 투자를 유치했으나, 정작 무인 사업은 계획과 달리 정확한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무인 편의점들은 관리 시스템 미비, 고객 응대 부족, 재고 관리 실패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여름철에는 에어컨 오작동으로 영업을 중단해야 했고, 건축 허가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무인 가판기 역시 관리 소홀 문제가 대두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줄어들었다. 131편의점(便利店) 고고샤오차오(gogo小超) 등 업체들이 올해 파산했다.

장융(張勇) 알리바바 회장은 “무인 상점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이 필요하다”며 “기술력을 더욱 높여 차세대 무인 유통 시장을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 공유경제: 사업성이 빠진 ‘신4대 발명’

공유자전거는 ‘중국 신(新) 4대 발명’ 중 하나로 꼽히며 한국 미국 호주 영국 등으로 영역을 넓혀 왔다. 중국 네티즌들은 공유자전거가 대중교통과 함께 중국인들의 생활을 바꾸어 놓았다고 칭찬했고 ▲공유 자동차 ▲농구공 ▲우산 ▲충전기 ▲오토바이 등 다양한 공유경제 아이템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뚜렷한 수익 모델을 찾지 못한 공유경제 업계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공유자전거의 쌍두마차로 꼽히던 오포(ofo)는 직원 감원, 회사 이전, 해외 지사 철수에 이어 보즘금 환불 지연으로 구설수에 올랐고, 다른 공유경제 모델들도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 2위 업체 모바이크(摩拜單車) 역시 감원에 나섰고 창업자 후웨이웨이(胡瑋煒)도 회사를 떠났다.

한 이용자는 “길거리에 오포 자전거는 많지만, 대부분 바퀴 바람이 빠져 있거나 체인에 문제가 있어 요즘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한때 넘쳐나는 자전거들을 처리하지 못해 중국 공안당국이 공터를 임대해 수천 대의 자전거를 쌓아놓는 진풍경이 벌어질 정도였다.

전문가들은 막대한 투자에 비해 공유경제 수익모델 연구가 부족했고, 업체간의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부실 업체들이 퇴출되더라도 공유경제 모델이 지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수익성 재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오포(ofo) 베이징 본사에 보증금 반환을 받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사진=바이두]

 

bjgchi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사격 여제 김예지, '진짜 킬러'로 변신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파리올림픽 사격 은메달리스트 김예지가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 영화 '아시아'의 스핀오프 드라마 '크러쉬'에 킬러로 캐스팅 됐다. 김예지는 미국과 아시아 7개국 이상 다국적 스타들이 총출동하여 인종 혐오와 차별에 대한 다양한 인간군상의 얽히고설킨 이야기의 영화 '아시아'(이정섭 감독)의 스핀오프 숏폼 시리즈 '크러쉬'에 출연한다. 2024 파리올림픽 은메달리스트 김예지와 인도의 글로벌 스타 아누쉬카 센이 '아시아' 스핀오프 숏폼 시리즈의 킬러로 동반 캐스팅 됐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영화 '아시아'의 스핀오프 드라마 '크러쉬'에서 킬러로 출연하는 김예지(사진 완쪽).  [사진 = 플랫폼 플필 제공]  2024.09.19 oks34@newspim.com 김예지 소속사 배우 캐스팅 플랫폼 플필 류민국 대표는 "김예지는 아시아랩의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 영화 '아시아'의 스핀오프 작품에서 세계적인 배우들과 함께 매력적인 킬러 역할의 배우로서 첫 선을 보이는 것에 대해 떨리면서 기쁨을 전했다며, 곧 공개되면 전 세계 팬들에게 큰 선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누쉬카 센 역시 인도에서 아역 출신의 인도 최고의 스타 배우로서 인스타그램 4,000만 팔로워를 갖고 있는 막강한 메가 인플루언서이기도 하다. 인도 아마존 프라임 시청률 1위 드라마 시리즈 주연으로 현재 인도와 해외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또한 한국에 기반한 아시아랩 글로벌 매니지먼트 소속으로 2024년 한국관광 홍보대사로서 한국과 인도 양국의 문화와 예술, 엔터테인먼트를 연결하는 주역이며, 특히 인도의 한류 붐을 일으킨 가장 큰 공헌자이기도 하다. 아시아랩(Asia Lab)의 CEO이자 연출자인 이정섭 감독은 "아누쉬카 센과 김예지의 '아시아' 스핀오프 숏폼 시리즈의 킬러 동반 캐스팅은 글로벌 숏폼 시리즈의 혁신과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전했고, 이미 공개된 영화 '아시아' 티저 트레일러는 여러 플랫폼에 3,000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강렬한 영상과 스토리로 전 세계 관객들에게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oks34@newspim.com 2024-09-19 14:10
사진
연준, 향후 금리 인하 속도 의견 '분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0.50%포인트(%P) 금리를 내리는 '빅컷'을 단행한 후 연준의 향후 행보와 관련해 월가의 의견이 분분하다.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금리가 내리는 속도와 최종 금리에 의견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11월부터 매 회의에서 0.25%P씩 금리를 낮춰 내년 중순 기준금리가 3.25~3.50%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전날 '빅컷'을 정확히 예측한 JP모간 체이스 앤 코는 11월 50%P 인하를 예상하면서도 이 같은 정책 결정이 미국 고용시장 상태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글로벌 리서치는 연준이 4분기 0.75%P의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내년 1.25%P를 추가로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BofA는 보고서에서 "우리는 연준이 더 깊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생각한다"며 "큰 폭의 금리 인하 이후 연준이 매파적으로 놀라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09.20 mj72284@newspim.com 반면 바클레이스는 연준이 11월과 12월 0.25%P씩 인하한 후 2025년에도 같은 속도로 금리를 내려 연말 기준금리가 3.50~3.75%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티그룹은 연준이 11월 0.50%P, 12월 0.25%P 금리 인하를 단행한 후 내년에도 0.25%P씩의 금리 인하를 지속해 연말 금리가 3.00~3.25%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날 연준은 기준금리를 0.50%P 인하한 4.75~5.00%로 정했다. 이로써 연준은 지난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에 처음으로 금리 인하에 나섰다. 연준은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가 아닌 연착륙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례적인 '빅컷'을 단행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향한다는 더 큰 자신감을 얻은 상황에서 중립 수준보다 훨씬 높은 기준금리를 낮춰 현재의 강력한 고용시장을 지키겠다는 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설명이다. 웰스파고의 마이클 슈머처 전략가는 "2024년 완화 사이클은 역사적인 수준의 시장 불확실성과 함께 시작됐다"며 연준이 미국 경제가 경착륙할 경우 앞으로 1년간 3.50%P, 연착륙의 경우 1.50%P의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금리선물 시장은 11월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5bp의 금리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57.5%, 50bp 인하 가능성을 42.5%로 각각 반영 중이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후 12월 18일 회의에서도 추가로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연말까지 추가로 총 0.75%P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나타나고 있다.   mj72284@newspim.com 2024-09-20 01:5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