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아르투어 슈니츨러 미완성 소설 '의화단 운동' 모티브
오는 2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러시아의 문예학자 빅토르 쉬클로프스키(Shklovsky, V.)는 문학 언어와 일상 언어를 구분하며 '낯설게 하기'의 방식을 처음 사용했다. 대상을 친숙하지 않게 만들고, 형태를 난해하게 만들고, 지각 과정을 곤란하고 길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상하게 만들기(make strange)'를 의미한다. 일상화되고 반복돼 참신하지 않은 사물이나 관념을 낯설게 함으로써 새로운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연극 '낯선 사람' [사진=(c)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_최윤정] |
그러나 문학을 벗어난 삶 속에서 '낯설게 하기'는 우리에게 일종의 '공포'를 안긴다. 그동안 당연하게 여겨지고 자연스럽게 행해지던, 혹은 생각되었던 무언가가 정해진 틀을 벗어남으로써 심리적인 불안을 발생시킨다. 확신을 가지고 옳다고 믿어왔던 것들을 의심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움의 미학이 아닌 무지에서 오는 섬뜩함을 느끼게 되는 것. 만약 그 대상이 나 자신이라면, 의심하고 회피하고 좌절하다 결국 무너지지 않을까.
극단 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의 연극 '낯선 사람'(연출 임형진)은 이러한 '낯설다'는 개념이 자본주의 환경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규정되는지, 또 이를 통해 현재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게 만드는 작품이다. 스스로가 낯설게 느껴지는 순간을 통해 지금까지 밀착된 안정감으로부터 잠시 거리를 둘 것을 제안하며, 심리적 이탈과 불일치를 통해 개인 내면 속 또다른 나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든다.
연극 '낯선 사람' [사진=(c)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_최윤정] |
작품은 오스트리아의 소설가이자 희곡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Arthur Schnitzler)의 미완성 소설 '의화단 운동(Boxeraufstand)'을 모티브로 재창작했다. 20세기 초 중국을 배경으로, 의화단 운동에 참여한 젊은 중국인 혁명가 천샤오보(안병찬)와 그를 잡은 오스트리아 연합군 장교 울리히(김정환)의 이야기와 시간이 흘러 할아버지가 된 천샤오보와 그의 손녀 바넷사린(오다애)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울리히는 사형을 앞뒀음에도 불구하고 곧은 자세로 의연하게 소설을 읽는 천샤오보의 태도에 큰 충격을 받는다. 그동안 수많은 사형 집행을 행했지만 단 한 번도 보지 못했던 모습에 울리히는 상부에 강력하게 건의해 천샤오보를 살려준다. 공포인지 경이인지 동정인지 가늠할 수 없지만, 울리히의 감성과 이성에 충돌을 일으켜 변화시킨 것은 결국 천샤오보의 '낯설음'이다.
연극 '낯선 사람' [사진=(c)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_최윤정] |
가까스로 살아난 천샤오보는 이후, 푸치니 오페라 '토스카'를 연습하는 손녀와 리웨이(한진만)의 모습을 보며 자신이 죽을 뻔했던 과거를 떠올린다. 비현실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천샤오보만이 아니다. 과거의 영광만 바라보며 자신을 천샤오보라 생각하는 늙은 울리히 또한 마찬가지다. 묘하게 닮은 두 사람을 보며 관객은 모호함을 느끼게 되고,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며 일상을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무대는 매우 심플하다. 가구와 벽면과 바닥이 모두 하얀 공간의 중앙을 잔디가 가로지르고 그 뒤쪽에 나무 기둥과 철조망이 위치해 있다. 최소한의 소품이지만 배우들의 열연이 무대를 꽉 채운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다른 카리스마로 관객들을 사로잡는 안병찬을 비롯해 강렬한 에너지의 김정환, 이들을 자연스럽게 잇는 오다애, 실제 오페라 가수로 연극에 처음 도전한 한진만까지 매우 인상적이다.
연극 '낯선 사람'은 오는 2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