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투자실장 지난달 18일 이후 방치
무역전쟁 치열한데 '말로만 위기' 지적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정부가 6월 수출이 위기라면서도 정작 '수출사령관'을 한 달 이상 방치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6월의 수출증가율이 감소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수출 확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6월 역대 두 번째인 514억달러의 호실적을 올린 게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는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6월도 문제지만 월간기준 역대 최고의 실적을 올린 9월도 증가세를 유지하기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확대할 경우 우리기업의 수출기반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 |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사진=뉴스핌 DB] |
이에 산업부는 지난 11일 무역보험공사에서 민관합동으로 '주요업종 수출점검회의'를 열고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기 위해 힘을 모았다. 하지만 이 자리에 '수출사령관' 격인 무역투자실장은 없었다. 전임 김영삼 무역투자실장이 지난달 18일 사임한 뒤 한 달 이상 후임자가 임명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수출 전선이 위급한 상황에서 후임자를 정하지도 못하고 사표를 수리한 셈이다. 때문에 정부가 말로는 '수출 위기'를 말하면서 내심 느긋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수출업계 한 관계자는 "수출기업 환경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무역투자실장을 한 달 이상 방치하는 것은 너무 무책임한 것 같다"면서 "정부와 수출업계가 전력을 다해도 만만치 않은 상황인데 정부는 다소 느긋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느긋함은 통상당국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꼭 필요하다며 '신통상질서전략실'을 만들었지만 정원 52명 중 아직 10명 가까이 비어있다. 우여곡절 끝에 실장은 임명됐지만 국장 보직 한 곳도 다음달 이후에나 임명이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인사를 늦추는 것은 아니고 절차상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수출과 통상분야 핵심 보직의 인사가 늦어지면서 정부의 늑장인사를 보는 업계의 시각은 따갑기만 하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