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정경환 기자] 청와대가 자치경찰제 도입을 전제로 검·경 수사권 조정이 돼야 한다는 문무일 검찰총장의 발언에 대해 다시한 번 강도 높게 비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30일 기자들과 만나 "문 총장이 한 이야기의 맥락을 보면 자치경찰제가 완전히 시행된 뒤에 수사권 조정을 하자는 것"이라며 "이건 수사권 조정이 늦어질 수밖에 없는 거다"고 말했다.
검·경 수사권 조정을 놓고 청와대가 재차 문 총장에 대해 못마땅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다.
앞서 청와대는 전날 문 총장의 자치경찰제 우선 시행 주장에 대해 "자치경찰제 문제는 자치분권위원회가 다룰 문제로 시간이 필요하다. 자치경찰제를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가면서 수사권 조정도 병행해 함께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불편함을 내비쳤다.
문 총장은 지난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실효적 자치경찰제가 도입되면 자연스럽게 검·경 수사권 조정이 이뤄진다.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라 검찰의 조직과 기능도 변화시킬 것"이라며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계획에 따라 '실효적인 자치경찰제'를 전면 시행해야 한다"고 했다.
![]() |
청와대 전경 /김학선 기자 yooksa@ |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문 총장이 얘기하는 자치경찰이라는 게 지방분권위원회에서 만들어낼,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생각한 자치경찰제와는 성격이 다른 것 같다"며 "중앙경찰 기능을 거의 없애고 풀뿌리 지방경찰에 권력을 넘겨주는 형태인 것 같은데,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바람직한지 의문이다. 그렇게 하면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문 총장이 수사권 조정 선결 조건으로 자치경찰제 전면 실시를 들고나온 게 시간벌기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검찰총장이 할 수 있는 얘기라고 보는지 거듭 묻자 "지켜보겠다. 논의해봐야 알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수사권 조정 논의에서 검찰이 소외되고 있다는 문 총장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박상기 법무부 장관과 문 총장 사이에 어느 정도 얘기가 되고 있는지 나는 잘 모른다"면서 "박 장관이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과 협의한 내용을 구체적인 것까지는 문 총장과 상의를 안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뭔가 진전될 때마다 단계가 있지 않겠나"며 "최근에는 (문 총장과의 협의에) 간격이 있었던 걸로 알지만, (박 장관이) 돌아오면 다시 논의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수사권 조정에 있어 청와대의 지휘·조정이 잘 안되고 있는 것 같다는 지적에는 "이 문제가 워낙 뿌리 깊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여서 지휘 조정이 쉽지는 않다"며 "노무현정부도 공약으로 내걸고 5년 내내 다뤘지만, 결국 매듭을 짓지 못했다"고 답했다.
[뉴스핌 Newspim] 정경환 기자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