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인영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P플랜(초단기 법정관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신규수주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 채권단이 아닌 법원 관리를 받게되면서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이나 신규자금 지원에 한계가 발생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
유창근 현대상선 대표이사(왼쪽)와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오른쪽)가 초대형 유조선 신조 발주를 위한 건조계약 의향서(LOI)에 서명을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상선> |
10일 금융권 및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채무조정을 거부할 시 대우조선은 P플랜이 불가피하다. 채권단은 오는 17~18일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조정안이 부결되면 P플랜에 돌입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법정관리가 현실화될 경우 건조계약 일부는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 전날 현대상선이 대우조선에 발주한 10척의 초대형유조선(VLCC, 5척 옵션포함)만 하더라도 본계약인 7월 말 이전에 'P플랜'이 가동되면 정식계약이 불투명하다. RG 발급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
VLCC 가격은 척당 900억원선으로, 5척이 정식계약되면 약 45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된다. 산업은행과 시중은행이 선수금에 대해 보증을 서게 되는데 적게는 10%, 많게는 30% 내외에서 RG가 발급된다. 이번 수주건은 900~1000억원대의 선수금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P플랜이 가동되면 물거품이 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은행과 대우조선이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 있는 개인투자자를 만나며 채무재조정에 안간힘을 쓰는 것도 법정관리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만큼 P플랜은 조선사와 금융기관으로선 파산 선고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애써 수주했더라도 금융기관의 RG가 없으면 건조 자체가 불가능하다"면서도 "대우조선과 산업계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P플랜을 만든만큼, P플랜으로 가더라도 대우조선이 생존할 장치를 마련해놨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은행들의 타격도 크다. 선주측이 요청하면 지급보증을 섰던 선수금을 물어줘야 한다. 이러한 대규모 선수금 환급청구(RG콜)와 추가 충당금 적립 부담으로 추산되는 금액은 최대 14조원이다.
이 같은 우려에 대우조선과 현대상선은 문제 없다는 반응이다. 현대상선은 대우조선 선정 이유에 대해 "재정적인 문제이지 건조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설사 P플랜으로 가더라도 건조 영향은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도 "우리가 P플랜으로 갈 가능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계약한 것"이라며 "(법정관리 가더라도) 건조 일정엔 문제 없다"고 답했다. 같은 이유로 현대상선 외에 신규수주한 선박들도 계약 취소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용석 산업은행 부행장은 "채권단 리스크를 분담하는 차원에서 P플랜 이후에도 (시중은행에) RG발급에 동참해주길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