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부동산부장] 어용단체(御用團體)란 말이 있다. 임금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만든 단체란 게 원래 뜻이다. 하지만 지금은 의미가 확대됐다. 즉 조직 구성원들의 이익보다는 특정세력이나 단체 지도부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단체는 모두 어용단체로 불린다.
어용단체의 전형을 찾자면 누구나 쉽게 떠올리는 것이 구한말 고종(高宗)황제시절 황국협회(皇國協會)일 것이다. 황국협회는 지금껏 어용단체의 대명사로 통하며 이에 더해 친일단체라는 혹평까지 받고 있다.
황국협회는 당초 전국을 돌아다니며 물건을 파는 보부상들의 모임에서 시작됐다. 자영업자다보니 보수성이 강하고 돈은 있지만 유교적 사농공상(士農工商) 질서에서 낮았던 신분 등급이 못마땅했던 게 이들 보부상의 입장이었다.
이같은 보부상들의 입장과 성향을 잘 이용한 것은 당시 집권층인 고종과 명성황후 측근이었다. 보부상들은 말그대로 이들 세력의 '홍위병'이 된다.
일본식 정치개혁을 요구했던 갑신정변이 불발되는데 보부상은 한축을 담당했다. 갑오 동학농민봉기 때 농민군과 주로 맞서 싸운 것도 관군이 아니라 보부상들이었다.
보부상들의 모임이 재결성 된 것은 1898년. 앞서 1896년 입헌군주제를 요구하며 독립협회가 생겨나자 2년 뒤인 이때 보부상들은 '황국협회'라는 이름으로 재결성한 것이다. 이렇게 생긴 황국협회는 독립협회와 사사건건 대립하게 된다.
하지만 황국협회의 오류는 묵묵히 생업에 종사하고 국가 경제에 이바지했던 보부상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황국(皇國)이라는, 보부상과는 전혀 상관없는 명칭을 보부상 단체에 이름 붙인 것은 보부상들을 자신들의 정치목적에 활용하려는 관료집단이었다. 심지어 황국협회의 지도부도 이제는 보부상이 아닌 정치인들이었다.
이 모든 잘못은 황국협회의 관료화와 관료들의 협회 조종 때문이다. 하지만 협회 구성원인 보부상들은 아직까지도 수구반동, 친일세력으로 오명을 뒤집어 쓴 채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협회의 관료화는 황국협회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 지 100년이 넘은 21세기에도 여전하다. 최근 건설인들의 모임인 대한건설협회에서 벌어진 일도 이와 무관치 않다. 지난해 12월 임기 3년의 대건협 제27대 회장 선거에서 신한건설의 유주현 회장이 선출됐다. 유 회장은 대건협 선거인단 143명 중 102표를 획득했다.
초등학교 반장선거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압도적인 표차 당선은 유주현 당선자의 '인맥 네트워크' 때문이다. 유 당선자는 오랫동안 건설협회 업무를 맡았다. 지난 1993년 건설협회 경기도회 간사를 시작으로 대의원을 맡았으며 경기도회 회장도 6년(2003~2009년)을 역임한 사실상 건설협회 '관료'로 꼽힌다.
문제는 유주현 회장이 건설업계를 대표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유 회장은 협회를 대표할 수는 있어도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위치와는 거리가 있다. 경기도 안양시에 본사를 둔 신한건설은 건설업계 랭킹인 시공능력평가순위 682위의 중소 건설업체다.
오히려 유 당선자가 회장 경선에서 상대했던 권혁운 후보가 건설업계 대표성면에서는 더 후한 점수를 받았다. 권 회장이 보유한 IS동서는 업계 43위로 주택사업을 꾸준히 하고 있는 중견건설사라서다. 중소 건설사는 대형 건설사에 비해 업계 장악력도 낮고 대정부 교섭력도 약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대형사 오너가 협회장을 맡는 것이 건설협회의 위상 강화에는 바람직하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었다.
대한건설협회는 건설업계 침체와 맞물려 점점 위상을 잃어가고 있다. 건설협회는 한때 전경련, 경총, 무협, 상의, 중기중앙회의 뒤를 잇는 '경제 6단체' 구성을 공언할 정도로 우리 경제계에서 작지 않은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25·26대 회장에 업계 126위 이화공영의 오너 최삼규 회장이 오르면서부터 목소리는 작아졌다.
건협 회원사들은 협회의 관료화를 또 다른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건설업계의 이익을 대변하고 국가경제의 한축을 담당하기보다 거대한 행정기구로 바뀌고 있다는 것. 실제 건설협회의 관료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게 회원사들의 불만이다. 협회 조직은 '신이 내린 직장' 공기업을 닮아가고 있으며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에서 온 은퇴 관료들이 삼삼오오 모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 당선자의 회장 당선은 건설'협회'의 이익일뿐 건설'업계'의 이익은 아닐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유주현 당선자는 회장 경선 당시부터 도덕성 논란에 휩싸였다. 유 회장은 과거 안양시장에게 관급공사 수주를 위해 총 8000만원의 뇌물을 줬고 이로 인해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은 사실이 있다. 하지만 선거장의 대의원들은 귀를 막고 눈을 닫았다.
이대로라면 대건협은 회원사인 건설업계의 이익보다 조직 이익에 몰두하게 될 날이 멀지 않아 올 것이란 게 회원사들의 우려다. 대건협의 회장 선출 과정을 보며 100여년전 황국협회가 떠오른 것은 지나친 기우일까.
[뉴스핌 Newspim] 이동훈 부동산부장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