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

속보

더보기

순금 ETF로 '대륙 뭉칫돈' 몰렸다

기사입력 : 2016년10월11일 11:09

최종수정 : 2016년10월11일 11:09

[뉴스핌=서양덕 기자] 중국 A주 침체와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중국인들의 뭉칫돈이 황금 ETF(상장지수펀드)로 집결하고 있다.

10일 중궈지진바오(中國基金報 중국기금보)에 따르면 순금ETF와 홍콩증시 ETF가 올해 중국 현지 투자자들로부터 각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에 따르면 올해 운용 규모가 가장 크고 거래량이 가장 많은 ETF는 비화폐성 상품으로 조사됐다. 9월 말 기준 A주 연계 ETF 수량은 총 144개로 24개가 통화형, 나머지 120개는 비화폐성이다.

현재 중국에서 운용되는 비화폐성 ETF 가운데 화바오톈이(華寶添益)의 운용 규모는 1008억주, 인화르리(銀華日利), 인푸궈훠비(富國貨幣), 난팡리차이진H(南方理财金H), 펑화톈리(鵬華添利)는 각각 100억주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화바오톈이 외에 다른 상품들은 플러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사진=바이두(百度)>

이는 중국 주식시장이 전반적인 침체에 빠진 가운데 투자자들이 원유, 금과 같은 비화폐성 자산을 주목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비화폐성 ETF 중 금 연계 ETF는 총 4개로 각각 화안이푸(華安易富)황금ETF, 궈타이(國泰)순금ETF, 이팡다(易方達)순금ETF, 보스(博時)순금ETF다. 이 중 유동성이 가장 높은 상품은 화안이푸순금ETF로 총 21억9800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상장 초기 불과 4억5600만주가 유통됐던 것과 비교해 현재 약 6배가 늘어난 것이다.

금 연계 ETF외에 홍콩 H지수 연계 ETF에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초 주가 폭락 이후 현재까지 2800~3000대 박스권에 머물고 있는 A주와 달리 홍콩증시는 불마켓 장세를 연출 중이다. 지난달 초 항셍지수는 장중 한때 연내 최고점을 기록할 정도로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선강퉁 시행 기대감에 홍콩증시로 남하(南下) 하는 외국인, 중국 본토 자금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H주 호황장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홍콩증시 상승세에 힘입어 H주 연계 ETF 상품들도 각각 탄력을 받고 있다. 화샤헝성퉁(华夏恒生通), 이팡다(易方达)H주ETF, 화샤헝성(华夏恒生)ETF 변동률은 각각 325.44%, 70.17%, 41.96%를 기록했다.

한편 올해 3분기까지 상장된 ETF는 총 16개다. 이중 9개는 화폐성 ETF, 7개는 주가지수연동 ETF다. 지난해 같은 기간 상장된 ETF 상장 개수는 총 25개로 올해는 전년 대비 30% 가량 줄어들었다.

 

[뉴스핌 Newspim] 서양덕 기자 (syd@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韓, 관세 15%...3500억달러 투자"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합의를 도출했다며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로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에너지 1000억달러 구매를 약속했고, 미국에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시장 등을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단을 접견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Full and Complete) 무역합의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산 제품에는 한국 측이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알렸다. 그는 이번 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그리고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프로젝트에 총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했으며, 또한 한국은 자국의 대미 투자 목적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약속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투자금액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향후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열릴 양자회담을 위해 방미할 때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라며 "우리는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되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참석한 무역 대표단에 감사를 전한다"며 "이들을 만나 그들의 나라의 위대한 성공에 대해 논의한 것은 영광이었다"고 덧붙였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행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손 동작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2025-07-31 07:51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