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강소영 기자] 2015년 중국 증시는 상하이지수 기준으로 5000포인트대와 2000포인트선을 오가는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상반기 무서운 기세의 불마켓을 보인 중국 증시는 6월 정점을 찍고 가파른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이런 주가 급등락 변동장세에 따라 A주 시장에 몸을 담은 투자자들 사이에선 상반기 환호가 6월 중반이후 비명으로 바뀌었다.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자들이 쏟아낸 풍자어를 통해 2015년 한해 중국 증시의 주요 이슈를 짚어본다.
1. 돈 많은 '은행의 큰 엄마'는 하고 싶은대로 (央媽”有錢任性")
중국에서는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융권의 엄마'라는 뜻에서 '양마(央媽)'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올해들어 인민은행이 각각 다섯 차례에 걸쳐 지급준비율과 금리 인하를 인하했다. 그 영향으로 1년 만기 대출금리는 6%에서 4.35%까지 내려갔고, 저축 기준금리는 1.5%까지 하락했다.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핀테크 금융상품의 수익률로 3% 이하로 하락했다. 저금리 기조는 기업 자금 조달 비용 절감과 부채가 많은 개인에게는 매우 반가운 일이지만, 각종 재테크 상품에 투자한 개미 투자자는 수익률 하락으로 씁쓸해했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 사이에서 "돈 많은 양마가 너무 제멋대로야"라는 말이 큰 공감을 얻게 된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2. "아기(개미 투자자)가 깜놀했어요!"(寶寶嚇死了)
2015년 6월 15일은 중국 자본시장 역사에서 두고두고 회자가 될 역사적인 날이 됐다. 상반기 무서운 기세의 불마켓장에서 상하이종합지수가 5178.19포인트(6월 12일 장중 최고가)까지 치솟다가 이날을 기점으로 폭락세에 접어들었기 때문. 한 달도 안되서 상하이지수는 3500포인트대(7월 8일 3507.19포인트)까지 고꾸라졌다. 8월 26일에는 장중 2850.71포인트(연중 최저치)까지 폭락하면서 시장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가파른 주가 상승에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던 많은 '개미' 투자자들은 주가 폭락 속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됐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은 "아기(개인 투자자)가 놀라 쓰러졌다"는 유행어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게 됐다.
3. 위국호판(為國護盤,국가를 위해 시장(증시)을 사수한다)
지난 6월 발생한 중국 증시 폭락 당시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된 유행어다. 중국정부가 나서 증시를 부양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와, 당국의 잇따른 증시 부양 실패를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중국 동방재부망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후 중국증시에서 2달간 33조4000억위안이 증발했다. 이과정에서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손실액도 4만3700위안까지 불었다.
당시 언론을 통해 공개된 증시 폭락 비관 자살 사고만 30건에 달했다. 중국 길거리에는 ‘투신자살하지 말라’는 현수막도 내걸렸다.
<사진=바이두(百度)> |
4. 가만히 있으면 안죽어(No "作“ No Die)
인터넷 상에서 쉬샹의 체포 당시 사진으로 불리는 사진 <출처=바이두(百度)> |
주식시장 폭락의 충격이 가라앉을 무렵 중국 금융계에서는 유력 인사와 관료들이 줄줄이 부패 혐의에 연루돼 조사를 받거나 낙마했다. 일부는 조사 과정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도 했다.
특히 7월 A주 구제작업에 참여했던 21개 증권사 중 14개 사가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조사를 받았다. 이 중 '화(禍)'를 면한 증권사는 절반에 불과하다.
사모펀드 업계의 대부로 불리는 쉬샹(徐翔)은 주가조작 혐의로 체포됐고, 수갑을 찬 모습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초라한 사진만 남긴 체 금융권에서 사라졌다.
11월 3일 기준 증권사 21개를 포함해 비위행위 혐의로 감독 당국의 조사를 받는 금융기관은 모두 31개에 달한다.
사상 유례 없는 금융권 사정한파에 시장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숨죽이고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웃지 못할 유행어가 나돌았다.
5. "날(미국 연준) 원망하니"(怪我咯)
2015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글로벌 시장의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금리인상 기대로 미국 달러 가치는 올해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고, 12월 16일 금리인상이 최종 결정되면서 미국 달러의 평가절상 기대감은 더욱 높아졌다.
이와 반대로 위안화와 중국 시장은 위축되고 있다. 국제유가도 올해 35%가량 떨어졌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을 원망한다는 우스개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6. 종목 선택도 '얼굴'이 중요해(選股要看“顏值”)
주식발행등록제 추진이 본궤도에 올랐다. 국무원 등 주요 기관은 주식발행등록제 시행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규제 철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식발행등록제는 A주 시장에 일대 변혁을 불러올 전망이다. 특히, 신주공급이 원활해 지면서 '가치투자' 풍토가 확립될 수 있다.
신주공급이 부족했던 지금까지는 신주라면 무조건 투기자금이 몰렸지만, 앞으로는 실적과 성장성이 보장되는 종목의 선별이 특히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 때문에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선 "앞으로 주식을 고를때는 '얼굴 생김새'를 잘 따져봐야 한다"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7. 조용히 세뱃돈이나 기다리겠어(我想靜靜地等紅包)
2014년 텐센트의 SNS플랫폼 웨이신(위챗)은 모바일 훙바오(紅包, 세뱃돈)를 출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웨이신을 통해 지인 혹은 불특정 다수에게 소액의 세뱃돈을 전달할 수 있는 이 상품은 중국 명절의 신풍속도로 자리잡았다.
이는 중국에서 최대 인기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중앙 관영 CCTV의 설날 '춘완(春晩)' 프로그램에까지 도입돼 2015년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모바일 훙바오는 모바일 결제 시장 성장을 더욱 촉진했고, O2O시장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중국 금융권과 산업계 발전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중국 인터넷에서는 "조용히 않아 모바일 훙바오나 받겠다"는 유행어가 돌고 있어, 2016년 모바일 훙바오 주고받기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사진=바이두(百度)> |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