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차세대 SNS로 급부상하는 '소셜 큐레이션'.. 거품 논란도

기사입력 : 2013년02월06일 10:01

최종수정 : 2013년02월06일 10:09

대표주자 핀터레스트, 기업가치 25억달러..NYT "거품꺼질 우려도"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빠르게 진화중이다. 단문 메시지를 재잘대며 주고받던 트위터와 '좋아요' 버튼으로 친구들과의 공감을 유도하며 네트워크를 돈독히 하게 했던 페이스북이 1세대였다면 2세대 SNS는 바로 소셜 큐레이션(Social Curation)이다.

소셜 큐레이션이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작품의 수집과 보존, 전파 등을 위해 진행하는 행위인 '큐레이션'에서 의미를 차용한 것으로, 빅데이터(Big Data) 속에서 허우적댈 수밖에 없는 정보과잉의 시대에 정보의 선별과 요약을 돕는 서비스(활동)를 말한다. 넓게는 SNS라고 봐도 되지만 차세대 SNS라는 점을 특화하기 위해 소셜 큐레이션이란 이름으로 달리 불린다.

핀터레스트(pinterest)와 플립보드(Flipboard), 텀블러(Tumblr), 스토리파이(Storyfy) 페이퍼리(Paper.li), 비쥬얼리(Visual.ly) 등이 잘 알려져 있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업체)들이다.

이 가운데 대표주자는 핀터레스트. 우리나라에선 아직 핀터레스트에 대한 인지도도 낮고 이용도 적은 편이지만 미국에선 그야말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페이스북 기업공개(IPO) 이후 SNS의 수익모델에 대한 회의가 오히려 더 공격받고 있는 가운데 핀터레스트는 자본의 러브콜을 받으며 급성장하고 있어 주목을 끈다.

◇ 소셜 큐레이션, 왜 뜰까

인터넷의 등장이 정보 유통의 1차적인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면 2차 혁명은 SNS가 몰고 왔다. 데이터 양은 이제 감히 헤아려보기도 어려울 정도가 됐다.

얼마나 많이 쌓이고 있는 지에 대해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이렇게 운을 뗐다.

슈미트 회장은 지난 2010년 열린 테크노미(Technomy) 컨퍼런스에서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래 2003년까지 만들어진 데이터의 양은 5엑사바이트(EB, 10의 18제곱)에 불과했다. 이제 이틀마다 그 만큼의 데이터가 새로 추가되고 있으며 이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이듬해 "2011년까지 쌓인 데이터는 1.8제타바이트(ZB)라고 했다. 슈미트 회장이 말한 것보다 2000배가 더 많다. 1ZB는 세계 60억 인구에게 한 사람당 약 4톤의 책을 나눠줄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데이터는 또한 과거처럼 정형화돼 있지도 않다. 기계적으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비정형 데이터가 대부분. 아이러니컬하게도 SNS와 스마트 단말기들을 통해 이런 정보를 생산하는 사람들이 정작 이렇게 쌓이는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문제다. 검색 포털 서비스 정도 밖에는 수단이 없는 것.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핀터레스트 웹 화면(출처=Pinterest)
그래서 생겨나고 있는 것이 각각의 다른 관심사와 목적에 따라 정보를 생산, 발견, 배치, 재해석하는 활동인 큐레이션인 것이다. <큐레이션>의 저자이자 동영상 큐레이션 서비스 업체인 미국 매그니파이닷넷의 스티븐 로젠바움 최고경영자(CEO)는 "인간이 수집하고 구성하는 대상에 질적인 판단을 추가해서 가치를 높이는 활동이 큐레이션"이라고 정의했다.

정보의 필터링이란 큰 뜻에서 본다면 큐레이션이란 전혀 새로운 개념은 사실 아니다. 여러 잡지들의 기사들을 모아 요약해서 잡지로 다시 펴낸 <리더스 다이제스트>도 큐레이션 서비스를 한 셈이다. 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유통을 하게 된 네이버의 뉴스캐스트(현재는 뉴스스탠드)도 큐레이션이다. 

하지만 '소셜'이 붙으면 의미는 좀 더 주체적으로 바뀐다. 포털의 큐레이션이 단순히 기계언어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자동화돼 뿌려지는 식이라면 소셜 큐레이션은 인터넷 사용자(혹은 서비스 업체)가 직접 특정 분야를 정해 정보를 모으고 이것을 SNS를 통해 뿌리는 차별성을 갖는다.

LG경제연구원 허지성 책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SNS는 스스로 업데이트한 사진이나 비디오 등을 제외하면 정보 업데이트 순서대로만 열람을 할 수 있어 휘발성이 강하고 탐색이 어려웠다면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는 특정 테마와 주제를 중심으로 정보가 분류되고 정보의 형태도 특정 포맷 중심이라 열람과 검색이 훨씬 편리하다는 차별점이 있다.

◇ 핀터레스트의 급부상..기업가치 거품 아닐까?

핀터레스트를 설명하는 표현들은 다양하다. 사진공유 SNS라고 하기도 하고 온라인 스크랩 사이트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핀터레스트 자체적으로는 최근 자신들의 서비스를 '비주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칭했다.

트위터가 RT를 이용하고 페이스북이 '좋아요'를 이용하는 것처럼 SNS 사용자들이 핀터레스트에서 쓰는 기능은 '핀잇(Pin It)' 기능이다. 사용자들이 관심있는(Interest) 분야의 정보 속을 서핑하다가 뽑아낸 정보를 개인의 스크랩 게시판인 핀보드(PinBoard)에 꽂아두는(Pin) 것을 의미한다. 

패션, 여행, 음식 등 특정 테마를 분류해 특화된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핀보드에서 단순히 '좋아요(like)'도 할 수 있지만 리핀(repin)을 하면 트위터의 리트윗처럼 정보가 확산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각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것이 핀터레스트의 장점. 격자무늬(grid) 처럼 사진이 배치돼 관심사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했다.

핀터레스트라는 회사는 지난 2008년 설립됐다. 서비스를 개시한 건 2010년 3월. 시장조사업체 컴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월 순방문자수는 2800만명을 넘는다. 한 해 전 750만명이었던 것이 거의 네 배로 늘었다.

투자금도 몰리고 있다. 지난해 5월 일본 전자상거래 업체 라쿠텐으로부터 1억달러를 투자받았는데 당시 1주당 가격으로 쳐보면 기업가치는 15억달러였다. 2011년 초만해도 핀터레스트의 가치는 약 4000만달러에 불과했다.

그 밖에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 캐피탈(VC)인 베스머 벤처 파트너스(Bessemer Venture Partners),  넷스케이프, AOL 임원이었던 벤 호로비츠(Ben Horowitz)가 공동 창업자인 VC 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en Horowitz), 퍼스트마크 캐피탈 등도 핀터레스트의 주요 주주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핀터레스트가 또 새로운 자금 조달을 눈 앞에 두고 있다면서 이 자금 조달에서 기업가치는 20억~25억달러 가량으로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직까지 직원 수도 30명이 안되고 적자를 내고 있는 기업이지만 가능성만으로 기업 가치는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 

아직 상장하지 않았지만 안정적인 서비스를 하고 있는 트위터가 9억달러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에 비하면 25억달러의 가치란 붕 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 않아도 같은 날 뉴욕타임스(NYT)는 '기업 가치가 10억달러에 달하는 회사(Billion-Dollar Club)'가 실리콘 밸리에 넘쳐나고 있는 모습을 우려하는 기사를 실었다. 핀터레스트도 여기에 속하는 기업. 

NYT는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과도하게 가치가 매겨지진 않았느냐는 우려가 있다면서 그루폰, 짚카, 페이스북 등의 기업가치가 IPO 이후 확 줄어든 것이 그런 우려를 뒷받침하는 예라고 보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