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경은 기자] 휴대폰 제조업계가 정부의 통신비인하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휴대폰 자급제 전용폰 출시에 미온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보다 앞선 정책이어서 제품을 내놓아도 수요가 크지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에 출시된 자급제 전용폰은 2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삼성전자가 '갤럭시M 스타일'을 최초로 내놓았고 LG전자는 최근 '옵티머스L7'을 공개하며 이르면 이번주부터 판매에 돌입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휴대폰 자급제 정책 시행에 앞서 5월에는 중고폰과 자가폰 중심으로 유통되고 6~7월에는 일부 제조사를 통해 자급제 전용 기종이 늘어날 것이란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후 올 하반기에는 단말기 유통이 확대돼 휴대폰 자급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상황은 녹록치 않다. 자급제 전용폰은 불과 2종에 불과한데다 제조사들의 향후 자급제폰 출시계획도 구체화된게 없어 소비자 선택권은 제한돼있다. 제조사 측이 자급제 시장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제품 출시에 몸사리기 때문이다.
한 스마트폰 제조업계 관계자는 "시장이 활성화돼있지 않아 자급제 전용폰이 많이 팔릴 가능성은 적다. 하이엔드급 제품이나 자급제 전용폰과 같은 보급형 제품이나 들이는 개발비용과 투자시간은 비슷한데, 굳이 자급제폰에 몰두할 이유가 없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스마트폰 한 기종이 출시되기까지 보통 1년 가량 소요되는데 그정도 투자할 여력이 없다. 정부 정책 협조 차원에서 이전에 개발하다 보류중인 제품을 변형하거나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출시했던 제품을 자급제 전용폰 구색맞추기용으로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는 휴대폰 자급제 시장이 초기단계인 만큼 긴 호흡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중고폰이나 해외에서 직접 들여온 제품으로 개통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에 정책의 성패를 가늠하는 것은 단편만 보고 전체를 판단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자급제폰 출시가 예상보다 늦지만 향후 마트들이 이동통신재판매(MVNO) 시장에 뛰어들며 자급제 정책까지 활성화되면 휴대폰 제조사 측도 자급제 전용 단말 출시에 적극성을 띌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방통위가 4개월 째 자급제 가입자 등 시장 상황을 조사하지 않고있어 이는 의욕만 앞선 전망이라는 시선을 거두긴 힘들다.
통신이용제도과 관계자는 "휴대폰 자급제가 아직은 초기단계라 가입자가 드물어 가입자 수치 등 상황을 따로 수집하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노경은 기자 (now21c@newspim.com)